아카이브

제목

4월 5주 커피자료 묶음

작성자 커피 리브레(ip:)

작성일 2022-04-25 17:53:06

조회 226

평점 0점  

추천 추천하기

내용

[레포트] 4월 5주 커피자료 묶음

자료수집기간 20220415 ~ 20220421

 

* 저자는 2000-2019년 사이 멕시코 및 여타 중남미 국가의 커피 수출 쿼타 및 Vollrath 지수를 계산 비교해 멕시코 커피의 경쟁력 상실을 평가했다. 이에 따르면, 여타 커피 생산국은 경쟁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온 데 비해 멕시코 커피는 점점 경쟁력이 떨어졌다. 저자는 이에 따라 재배인의 생산 능력을 강화하고 생산을 통한 수익성을 높이며 커피 수출을 조장할 수 있는 정책 활동을 요구한다. 

  

인용(APA): Rivera Rojo, C. R. (2022). Competitiveness of the Mexican coffee in international trad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Brazil, Colombia, and Peru (2000-2019). Análisis económico, 37(94), 181-199.

 

링크:   http://www.scielo.org.mx/scielo.php?pid=S2448-66552022000100181&script=sci_abstract&tlng=en

 

 

* 남서부 에티오피아 일루 아바보르 지구 야유 생물권 보호구역(야유, 후루무)에서 지역 특유의 정원(garden) 경작 및 커피 혼농임업 체제의 식물 다양성과 식물 조성에 대해 32개 가구를 대상으로 인터뷰 및 현장 조사 분석했다. 너비는 정원이 0.1ha, 커피 혼농임업지가 0.38-3ha 이며 주요 작물은 정원에서는 커피와 아보카도(전체 중 96.9%) 및 라푸, 데테나다마, 다피, 코추 가 재배된 대 비해 커피 혼농임업에서는 커피(100%)가 주로 재배되었다.  49과 101개 식물종을 확인했는데 이중 37과 74종은 정원 경작지에서, 34과 57종은 커피 혼농임업지에서 찾았다. 정원 경작지의 주 식물은 풀(초본 식물)이 51% 인데 비해 커피 혼농 임업지는 나무(수목)이 72%로 주종을 이루었다. 기능성 식물은 정원에서는 과실수(19%)와 건설 및 연료용 나무(15%)가, 커피 혼농임업지는 건설 및 연료용 나무(30%)가 주를 이루었다. 토종 식물종의 비율은 정원에서는 38%, 커피 혼농 임업지에서는 77%였다. 저자는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양 재배지 모두 식물수종의 다양성이 매우 높아 재배인에게 폭넓은 도움이 되고 있으며, 이 점에서 관련 당사자 및 정부는 해당 체제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용(APA): Seid, G., & Kebebew, Z. Homegarden and Coffee Agroforestry Systems Plant Species Diversity and Composition in Yayu Biosphere Reserve, Southwest Ethiopia. Heliyon.

 

링크:   https://www.cell.com/heliyon/pdf/S2405-8440(22)00569-2.pdf

 

 

* 저자는 커피에 광원을 비춰 형광 분광값을 얻어 주성분 분석, 선형판별분석을 적용해 구분하는 방법으로 산지 구분 및 혼합물 속 크림과 설탕 함량(0-90%)을 분간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가 실제 농도와 잘 부합한다고 말한다. 

  

인용(APA): Luo, S., Yan, C., & Chen, D. (2022). Preliminary study on coffee type identification and coffee mixture analysis by light emitting diode induced fluorescence spectroscopy. Food Control, 109044.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956713522002377

 

 

* 저자는 2018년에 있었던 인도네시아의 커피 수출 격감 (-40.23%) 및 생산 감소와 관련해, 인도네시아 커피 생산 및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2SLS 추정법을 적용한 방정식 모델을 적용해 살폈다. 이에 따르면, 생산 부문에서는 코코아 가격과 소규모 경작지 면적, 투자 이자율과 민간 경작지 면적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코코아 가격이 1달러 상승하면 작물 변경으로 인해 소규모 경작지 면적은 36.16헥타르 줄어들었다. 이자율이 1% 상승하면 농업 투자가 감소하면서 민간 경작지 면적은 870.16헥타르 줄어들었다. 강우량 및 시간 흐름과 소규모 생산자 생산성, 국내 커피 가격과 민간 커피 생산성은 관련이 있었는데, 강우량이 연 1mm 늘어나면 소규모 생산자 생산성은 0.00052톤/헥타르 늘어났고 시간이 지날수록 기술이 발전하면서 소규모 생산자 생산성은 연간 0.0043톤/헥타르 높아졌다. 커피 가격이 1루피아(0.086원) 상승시 투자가 늘어나면서 민간 커피 생산성은 1.8x10^-9톤/헥타르 높아졌다. 또한 국내 커피 수요가 1톤 증가하면 국내 커피 가격은 40.14루피아 상승할 수 있으며, 세계 가격 또한 국내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 무역 부문에서는 미국으로의 커피 수출, 국내 커피 가격, 일본의 비관세 무역 장벽, 독일로의 커피 수출은 미국, 일본, 독일로의 수출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세계 커피 가격은이 1달러 상승시 국내 커피 수입 가격은 0.94달러 상승했으며, 장단기적으로 수출, 수입가는 세계 커피 가격에 탄력적으로 반응했다. 

  

인용(APA): Okim, F., & Hanani, N. (2022). The Impact of Input and Output Prices on Indonesian Coffee Production and Trade Performance. HABITAT, 33(01), 33-43.

 

링크:   https://www.habitat.ub.ac.id/index.php/habitat/article/view/3408

 

 

* 저자는 잎의 영양 상황을 통해 나무의 영양 상황을 추측하는 실험이 열매의 기후 단계에 따라서 잎의 영양 상태기 다를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잎 샘플 수집에 적절한 열매 발육 시점을 찾고자 했다. 여섯 가지 품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질소는 품종에 따라 함량이 꾸준히 증가하거나 1, 2단계 후 유지(IAC125RN)또는 감소 후 증가(IPR100)했다. 인 함량은 대체로 열매 결실기 시점에서 가장 높았다. 칼륨 함량은 품종에 따라 증가(아카우아 노보, 카투아이 베르멜류 IAC144, IPR100) 또는 감소(IAC125RN, 카투카이 20/15)했다. 칼슘과 마그네슘은 대체로 열매 성장기 시점에서 가장 증가했다. 황은 성장기 및 결실기(카투카이 20/15, IAC125RN)에서 가장 높았다. 구리는 초기 및 결실기에 함량이 높았고, 망간 함량은 수정기, 열매 성장기에 함량이 높았다. 아연 농도는 수정 단계에서 가장 높았다. 저자는 이처럼, 원소에 따라서 알맞은 측정 시점이 다르다고 말한다. 

  

인용(APA): da Silva, C. D., da Silva, L. F. V., Barbosa, G. M. D., Franco, M. F. S., Delgado, E. U. A., Fariña, P. R. V., & de Aquino, L. A. (2022). Diagnosis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coffee tree according to fruit phenology. Research, Society and Development, 11(6), e1311628591.

 

링크:   https://rsdjournal.org/index.php/rsd/article/view/28591

 

 

* 사용 후 커피에 여러 가지 추출법을 적용하고 추출물의 페놀 함량과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실험에서, 초음파를 조사하는 콜드 브루가 가장 높은 성과를 나타냈다. 해당 추출에서 페놀 성분 함량과 항산화력은 40분째까지는 지속적으로 높아지다가 이후 크게 줄어들었는데, 최대 수치는 갈산 환산 78.85mg/ml, 717.11, 711.23, 2401.90µM (DPPH, ATBS, FRAP)였다. 저자는 해당 추출물을 저지방 포크 소시지에 1.00% 농도로 적용한 경우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력이 커졌으며, 14일 보관 뒤 각 수치가 높아졌으며(갈산 환산 18.07mg/100g, 159.76µM DPPH) 소시지의 산패가 멈추면서 유통기한이 늘어났다고 말한다. 

  

인용(APA): Chongsrimsirisakhol, O., & Pirak, T. (2022).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ld brew coffee extracts as affected by ultrasound treatment and their application in low fat pork sausage.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Properties, 25(1), 813-826.

 

링크: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0942912.2022.2056197

 

 

* 저자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내 지역 커피점이 2002-20020년 사이 매장 수 면에서 국제 브랜드 대비 경쟁력을 충분히 갖출 정도로 성장했다고 말하고, 디자인 기본 요소(브랜드, 로고, 색패널, 심볼, 타이포그래피, 포토그래피)에 따라 지역 매장의 시각 브랜딩을 분석하고, 네트노그라피(온라인 환경에서 진행하는 집단 참여 형태의 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시각 디자인 브랜드화를 진행하는 지역 커피점의 흐름 및 아이디어를 탐구했다. 저자는 연구 결과, 지역 매장은 커피콩 관련 색(빨강, 녹색, 노랑, 검정, 흰색)에 로고마크, 로고글꼴을 결합해 사용하는데, 이는 소비자가 보다 쉽게 브랜드명을 기억하게 하기 위함으로, 아이콘 등 시각 요소는 커피콩을 변형한 형태로 나타난다고 설명한다. 저자는 이 점에서 마케팅 전략 기술에 사용되는 총체적 시각 요소는 자기 장점을 기술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되는 키워드라고 언급한다. 또한, 주된 색상 표현 또한 전문성, 클래식, 모던, 지역성, 민족성, 문화, 로맨틱 등의 거대 아이디어를 보조한다고 설명한다. 

  

인용(APA): Ulita, N. (2022). Visual Branding Design Review of Local Coffee Store in Jakarta. Eduvest-Journal Of Universal Studies, 2(4), 684-697.

 

링크:   https://eduvest.greenvest.co.id/index.php/edv/article/view/411

 

 

* 저자는 선진 농기술이 생산성과 수익을 높이는 주된 전략이라고 언급하며, 우간다의 카누구 지역 소규모 커피 재배인 289인 및 훈련단 8인을 상대로 인터뷰 및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저자는 훈련 프로그램과 신용 접근성이 재배인의 농기술 채택에 유의한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데 비해, 시장 접근성은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고 말한다.

  

인용(APA): Nabaasa, E., Kalibwani, R. M., Ssemakula, E., & Mujuni, B. (2022). Institutional Factors and Technology Adoption amongst Smallholder Coffee Farmers in Kanungu District South-Western Uganda.

 

링크:   https://www.preprints.org/manuscript/202204.0145/v1

 

 

* 커피 음용과 골다골증-골절과의 관련성에 대한 2021년 11월 25일 공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리뷰(골다공증 7114건, 골절 391956건) 결과, 커피 음용이 적은 경우 골다공증 위험이 낮게 나타난데 비해, 골절 위험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고관절 골절과 커피 음용량 사이 관련성은 어느 정도 있었으나 일관되지는 않았고(9잔 이상에서 증가) 표본이 많을수록 유의성이 떨어졌다. 

  

인용(APA): Zeng, X., Su, Y., Tan, A., Zou, L., Zha, W., Yi, S., ... & Kwok, T. (2022). The association of coffee consumption with the risk of osteoporosis and fractur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steoporosis International, 1-23.

 

링크: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198-022-06399-7

 

 

* 종, 로스팅 정도, 추출 온도, 추출 비율, 분쇄 입자 크기, 음료 온도를 달리 했을 때 질소 주입형 콜드 브루 커피의 거품 형성력과 거품 유지력을 살피는 실험에서, 해당 음료에서 갓 생성된 거품의 표면장력은 65-70mN/m, 수명은 0.1초였으며 1초 후 표면장력은 60mN/m 으로 떨어졌다. 콜드 브루 70ml 에 질소를 30초간 50ml/분 주입할 경우 거품은 30-40ml 발생했다. 거품 형성력과 거품 유지력은 양의 관련성이 있었으며, 아라비카종, 강로스팅, 높은 추출 온도, 작은 입자 조건에서 거품 안정성이 높은 반면, 음료 온도를 높일 경우 거품 안정성은 크게 떨어졌다. 추출비의 영향은 가장 작았다. 거품 형성에 기여하는 성분은 에탄올에 녹는 질소 함유 물질인데 비해 거품 유지에 기여하는 성분은 에탄올에 녹지 않으면서 탄수화물을 함유한 성분이었다. 

 

 

인용(APA): Yu, D., Wang, X., & Lim, L. T.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Foamability and Foam Stability of Cold Brew Coffee.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링크: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jsfa.11937 


첨부파일

비밀번호

비밀번호 입력후 수정 혹은 삭제해주세요.

댓글 수정

이름

비밀번호

내용

/ byte

수정 취소
비밀번호
확인 취소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