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제목

2023년 1월 4주 커피자료 묶음

작성자 커피 리브레(ip:)

작성일 2023-01-23 22:05:53

조회 281

평점 0점  

추천 추천하기

내용


2023년 1월 4주 커피자료 묶음

자료수집기간 20230123-0129

 


<< 커피리브레 홈페이지 아카이브에서 여러 커피 정보를 확인하세요. >>

링크: https://coffeelibre.kr/board/free/list.html?board_no=2

 


 

  **

요약:  Mielke팀(2023)은 두 아라비카 품종(까뚜아이 베르밀류 IAC44, 까뚜까이 베르멜류 19/08; 1년차 나무)에 대한 조사 분석 결과, 잎 면적으로 아라비카 유전자형을 매우 높은 정확도로 추정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Mielke, M. S., Santos, G. O., Lopes, E. C. S., Schilling, A. C., dos Santos, M. S., & Pérez-Molina, J. P. (2023). Allometric models to estimate the individual leaf area of arabica coffee: an approach from frequentist and Bayesian statistics. Acta Physiologiae Plantarum, 45(3), 39.

 

링크: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1738-023-03514-x

 

 

  **

요약:  Wondimenh(2023)은 에티오피아의 전통 혼농입업이 수익, 생물 다양성, 사회 활동, 토양 비옥도를 높이지만 노동력, 교육, 수익, 토지 양, 물, 훈련, 시장 거리, 자본, 환경 인식 등의 한계 요소가 있다고 말한다. 

 

상세:  저자는 전세계 농가의 45%가 지표면 위 나무의 10%를 차지하고, 농지의 탄소 저장량이 453억 톤인데 이중 나무의 저장 비중은 75%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혼농 임업이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전통적인 혼농 임업 체제가 그늘을 제공해 공동체 모임 및 동물 서식지 제공 기능을 해 왔다고 언급하고, 에티오피아에서 전통적 혼농 임업 체제 구성 및 그 기능을 메타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전통적 혼농 임업 체제는 생물 다양성을 증진하고 종 양을 늘렸으며, 온실가스를 줄이고 다양한 자원을 제공해 생계 개선에 기여했으며, 탄소를 저장하고 토양 비옥도를 높였다. 저자는 혼농임업체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교육(+), 나이(+/-), 가족 규모(+), 수익(+), 토지 크기(+/-), 물 가용성(+), 훈련 가능성(+), 시장과의 거리(+/-), 묘목 입수 가능성(+), 수익 안정성(+), 대출 가능성(+), 환경 인지도(+)를 꼽았다.  

 

인용(APA): Wondimenh, S. (2023). The Contribution of Traditional Agroforestry Systems and Challenges of Adoption by Smallholder Farmers in Ethiopia. A review. East African Journal of Forestry and Agroforestry, 6(1), 18-32.

 

링크:   https://journals.eanso.org/index.php/eajfa/article/view/1051

 

 

  **

요약:  KHOIRUNNISAK팀(2023)은 그늘나무(레우카에나 레우코세팔라) 아래 재배한 커피나무가 일광 노출형 커피나무 대비 사용 가능한 물 용량과 뿌리 길이 밀도가 특히 0-20cm 깊이에서 높으며, 이 점에서 커피 혼농임업은 그늘나무와 커피나무의 뿌리 경쟁 없이 물 사용량 면에서 유리하다고 주장한다. 

  

인용(APA): KHOIRUNNISAK, A., PRIJONO, S., & WICAKSONO, K. S. (2023). The role of coffee agroforestry on available water capacity and root length density in smallholder plantation. Biodiversitas Journal of Biological Diversity, 24(1).

 

링크:   https://www.smujo.id/biodiv/article/download/12778/6447

 

 

  **

요약:  Apriani팀(2023)은 인도네시아 자바 카라광 시 인근 커피 마을의 소셜 미디어를 통한 관광 개발 전략과 관련, SWOT분석(강점: 가격 경쟁력, 시장 기회, 지자체장의 지원, 중소중견기업 문화; 약점: 인적자원 부족, 지리적 위치, 자본, 현재까지의 프로모션; 기회: 정부 정책, 현지 기술 혁신, 관광친화적 경쟁, 관광지 인구 증가; 위협: 제품과 서비스의 소비자 필요성, 보건, 코로나 환경, 유사 관광지 경쟁)하고, 특히 소셜 미디어 면에서 소프트 기술과 품질을 개선하는 외, 소셜 미디어를 혁신적이고 매력적인 홍보 매체로 삼을 것을 주문했다. 

 

인용(APA): Apriani, Z., Rosmawati, E., & Yani, D. (2023). Instagram social media development strategy for promotional facilities and local wisdom potential in ecotourism-based coffee villages in Mekarbuana Village Karawang. International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Research, 2(1), 01-08.

 

링크:   http://ijemr.politeknikpratama.ac.id/index.php/ijemr/article/view/61

 

 

  **

요약:  Dwedar(2023)은 제왕절개 후 여성의 PDPH(외상, 시술 등에 의한 뇌척수액 누수를 통한 뇌척수액 감소로 인한 두통)에 대해, 커피 음용은 PDPH를 유의하게 억제하는(대조군의 100-92.8% 대비 71.1-27.7% 발생) 비약물적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Dwedar, L. (2023). Effect of Coffee Intake on Post-Dural Puncture Headache Parameters among Post-Cesarean Section Women. International Egyptian Journal of Nursing Sciences and Research.

 

링크:   https://ejnsr.journals.ekb.eg/article_280701.html

 

 

  **

요약:  Cherop(2023)은 우간다 케마 마을에서의 연구를 바탕으로, 유기농 커피 생산은 재배인에게 돌아오는 수익이 낮아 전체 수익성이 없다고 말한다.  

  

인용(APA): Cherop, A. (2023). Assessing the effect of organic coffee production on smallholder farmers coffee income in Chema sub-county Kapchorwa district (Doctoral dissertation).

 

링크:   http://dissertations.mak.ac.ug/handle/20.500.12281/14272

 

 

  **

요약:  Febrianto & Zhu(2023)는 신흥 가공법의 작업 방식과 성분과 맛에 미치는 영향 및 생리적 영향을 살폈다. 

 

상세:  저자는 커피 가공 방식이 종래의 3개 종류에서 크게 늘었다고 말하며, 신흥 가공법(emerging processing method, EPM) 관련 자료를 리뷰했다. 그에 따르면 I) 가공방식 면에서는 신흥 가공법의 첫번재로 시벳, 코끼리, 자쿠새, 원숭이 등 동물의 소화기관을 이용한 소화법(digesting method)에서는 포식자의 본능적인 우수 열매 섭취, 최대 70시간에 달하는 소화 경로, 장 내 미생물과 소화 효소가 영향을 미치며, 실험에서는 장내 미생물과 효소를 이용한 경우 저품질 생두의 향미가 개선되고, 이스트가 향미 요소를 생성하며, 아세트산이 아미노산의 반응을 억제하는 형태로 작용해 로부스타의 관능 속성을 아라비카에 가깝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로 무산소 발효법은 철제, 고밀도 플라스틱제, 물 속 비닐용기에서 18-30도 조건으로 16-90시간 발효하는 것으로, 미생물 조성 변화(이스트와 박테리아를 제외한 타 산소 요구 미생물, 특히 사상균의 성장 억제), 미생물 대사 변화(알콜 발효 및 젖산 발효), 커피 대사의 변화(혐기성 당분해(글리콜리시스) 및 그로 인한 산성화 및 물질 생성)를 일으키는데, 좋지 않은 향미 물질 및 독성 물질을 생성하는 사상균을 억제하면서 장기 발효가 가능하기에 향미 전구체 형성이 용이하고 특히 과일 속성의 에스테르 물질 형성량이 많다. 세번째로 카보닉 매서레이션은 무산소 조건에 이산화탄소를 투입하고 18-38도 조건으로 24-120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으로, 무산소 조건에 더해 커피콩의 호흡과 결실을 억제함으로써 열매가 빨리 발효 단계에 들어서게 해 알콜, 산, 알데히드 생성을 촉진하면서 부정적인 속성을 낼 수 있는 자유 휘발성 페놀, 자유 유기산, 에틸 에스테르는 줄인다. 네번째로 기타 처리법으로는 커피열매를 4시간 건조 후 무산소 처리해 쌉쌀한 발효맛을 내되 과잉 발효 위험이 있는 와인 커피 발효법, 24시간 발효 후 다시 재발효하는 부룬디 식 발효 또는 이중 발효법이 있다. II) 성분 면에서 일반 처리법 대비 소화법은 저장 단백질이 분해되고 알라닌, 아스파라긴, 감마-아미노부틸산, 말산, 퀸산, 클로린, 트리고넬린은 많고 5-CQA, 수크로스, 카페인은 적은 등의 변화가 있었다. 저자는 특정 미생물이 생성하는 효소가 폴리페노라 단백질,설탕 함량은 줄이고 용존 고형분 양은 늘여 마이야르 반응 결과물인 피라진 등 휘발성 물질 함량을 높인다고 언급하고, 길링 바사 방식에서는 리조푸스 올리고스포루스가 유기산, 당, 페놀산 함량은 줄이고 휘발성 물질은 높이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와 피치아클루이베리는 일부 탄수화물과 유기산(락트산 제외), 페놀 화합물, 아미노산 함량은 줄인다고 말한다. 무산소 발효 결과물은 락트산 함량이 늘어나지만 배양 종균에 따라서는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락트산, 아세트산이 줄어들 수 있고, 산, 푸라논, 케톤, 락톤, 페놀, 피라진 등 함량은 늘어날 수 있으며, 조합에 따라서는 D-리모넨 및 노나날 함량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카보닉 매서레이션에서는 온도 상승시 알칼로이드, 페놀, 산, 당 함량이, 진행 시간 연장시 산, 지질, 카페인, 페놀 함량이 늘어날 수 있다. 기타 부룬디 방식에서는 수크로스, 시트르산, 말산, 아세트산, 퀸산, 트리고넬린, 지방산 함량은 늘어나고 카페인, 아스파라긴, GABA, CGA 성분은 줄어들 수 있다. III) 관능 속성 면에서 소화 방식은 길링 바사에서 신맛 균형감, 단맛, 견과류, 로스티드, 캐러멜 느낌; 이스트 배양종균 발효에서는 신맛과 단맛 감소 및 견과류, 로스티드, 캐러멜 강화, 락트산 박테리아 배양종균 발효에서는 쌉쌀함과 과일 느낌이 강해졌다. 카르복시펩티데이즈를 사용한 로부스타 가공에서는 오버올 및 애프터테이스트, 입안 느낌, 향미, 부드러움 부분이 나아졌다. 무산소 발효는 과일, 쌉쌀함, 나무, 캐러멜, 캐러멜화된 당 느낌이 강해지고 관능 속성이 전체적으로 풍부해졌으며 음료 품질이 높아졌다. 카보닉 매서레이션 방식은 전체적으로 음료 품질이 높아졌다. 기타 방식으로 와인 가공법은 신맛과 향미가 강화되고 단맛은 약해졌다. IV) 생리적 면에서 소화 방식을 거친 커피는 폴리페놀 함량이 줄어들어 항비만, 항암 효과는 줄 수 있지만 항산화 효과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시벳 등 일부 가공 커피는 아스파라긴 함량이 높기에 아크릴아미드 형성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무산소 발효 커피는 생리학적으로는 일반 커피와 유사할 것으로 보인다. 카보닉 매서레이션 및 기타 발효 커피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다. 

  

인용(APA): Febrianto, N. A., & Zhu, F. (2023). Coffee bean processing: Emerging methods and their effects on chemical, b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Food Chemistry, 135489.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881462300105X

 

 

  **

요약:  Ramamurthy팀(2023)은 고스트 모듈(컨볼루션 신경망 이미지 블록의 일종)을 장착한 네트워크 아키텍쳐(EfficientNetB0)를 사용한 아라비카 커피 대응 주요 질병 탐지 시스템이 딥 러닝 아키텍쳐보다 훨씬 적은 변수(487만개)로 84%의 정확도를 지닌다고 말한다. 

 

상세:  

  

인용(APA): Ramamurthy, K., Thekkath, R. D., Batra, S., & Chattopadhyay, S. A novel deep learning architecture for disease classification in Arabica coffee plants. Concurrency and Computation: Practice and Experience, e7625.

 

링크: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cpe.7625

 

 

  **

요약:  Yamashita & Leite(2023)는 커피나무 잎 사진(6000장)을 컨볼루션 신경망 내장형 보드로 처리해 나무의 병증을 높은 정확도(다단계에서 98%, 1단계에서 96%)로 확인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Yamashita, J. V. Y. B., & Leite, J. P. R. (2023). Coffee disease classification at the edge using deep learning. Smart Agricultural Technology, 100183.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772375523000138

 

 

  **

요약:  Presta-Novello팀(2023)은 콜롬비아 커피 지구에 생물 침지기를 설치해 커피 과육을 발효해 바이오가스을 활용하는 방법이 특히 여성에게 사회, 경제, 환경 면에서 유용한 효과를 미친다고 말한다. 

 

상세:  저자는 32개 주 중 22개 주에서 커피를 생산하는 콜롬비아에서 생산자의 31%가 여성이고 커피 가구 중 25%가 여성이 가장이라고 지적하고, 특히 내전으로 상당수 여성이 가정과 커피 생산을 이끌어야 하는 중서부 똘리마 차빠랄 지역에서 생물 침지기(biodigester) 및 이를 통해 생산한 바이오가스를 연소하는 열 발생기(thermal system)을 설치하고 해당 설비의 특히 여성에 대한 지역 영향을 살폈다. 저자는 콜롬비아에서 커피 과육의 평균 생산성이 연 헥타르 당 2.25톤으로 생두 100만 포대 당 생과육 162,900톤이 발생하는데, 과육의 30%는 유기물로서 박테리아가 분해할 수 있으나 2018년 기준으로 적절하지 못한 처리 결과 발생하 메탄이 연 931km^3에 달한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생물 침지기를 통해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는 메탄 함유율 53.5%에 열량 5.33 kWh/m3으로 조리용 및 커피 건조 보조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여성 인터뷰를 통해 음식 준비 관련 일일 2시간 절감 효과가 있으며, 만족스런 환경 보호 효과가 있고, 생물 침지기가 지식과 경험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가정과 사회에서의 지도력에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인용(APA): Presta-Novello, D., Salazar-Camacho, N. A., Delgadillo-Mirquez, L., Hernández-Sarabia, H. M., & Álvarez-Bustos, M. D. P. (2023).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olombian Post-Conflict—The Impact of Renewable Energies in Coffee-Growing Women. Sustainability, 15(2), 1618.

 

링크:  https://www.mdpi.com/2071-1050/15/2/1618

 

 

  **

요약:  Santanatoglia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해 필터 커피를 추출하는 퓨어 브루 방식이 기존 필터식 추출법 대비 유사하거나 추출 수율과 생활성 성분 함량 등 일부 면에서 보다 개선된 성능을 보인다고 말한다. 

 

상세:  저자는 로스팅 정도가 다른 커피 3종을 사용해 네 가지(V60, 프렌치 프레스, 에어로프레스, 퓨어 브루 기법(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해 필터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블랙 이글 매버릭 머신을 사용해 0.15기압 이하 압력을 맥동식으로 가해 초미세 바스켓 속 커피를 투과해 추출), 커피 대 물 비는 1:15, 커피 20g 사용해 약 250ml 추출) 추출 결과물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프렌치 프레스와 퓨어 브루 분쇄는 다소 굵은데 비해 V60과 에어로프레스 분쇄는 다소 가늘었다. (약, 중, 강로스팅에서 각각 1250-1390-1230μm, 1250-1130-1050μm, 876-945-1070μm, 901-800-786μm) 음료 속성 면에서 퓨어 브루는 로스팅 정도에 무관하게 총 용존 고형분비(TDS)와 추출 수율(PE)가 일정하고 추출 차트에서 이상 균형 부분에 들어가는데 비해, V60은 중로스팅에서 strong, 에어로프레스는 중, 강 로스팅에서 strong 을 나타냈고 프렌치 프레스는 강로스팅 에서 weak-underdevelopped 를 나타냈다. 추출 결과물의 생활성 성분 줃 카페인은 약로스팅에서는 프렌치프레스(734.72μg/mL)가, 중, 강 로스팅에서는 퓨어 브루가 가장 높았다.(각각 598.28, 556.13μg/mL) 5-CQA함량 또한 약로스팅에서는 프렌치프레스(953.76μg/mL)가, 중, 강 로스팅에서는 퓨어 브루가 가장 높았다.(각각 849.45, 656.64μg/mL) 헤드스페이스 내 휘발성 화합물로서 2-퓨란메타놀(캔디, 탄내, 연기내)은 약로스팅에서는 퓨어 브루, 중, 강 로스팅에서는 V60에서 많았다. 퓨란메타놀 아세테이트(꽃, 풀, 과일)는 약로스팅에서 에어로프레스, 중로스팅에서 V60, 강로스팅에서 퓨어 브루가 많았다. 알데히드 중 2-메틸프로파날, 2-메틸부타날, 3-메틸부타날 등 주요 향미 물질은 약로스팅에서는 에어로프레스, 중, 강 로스팅에서는 퓨어 브루에 많았다. 5-메틸 2-퓨란카르복살데히드(아몬드, 케러멜, 달콤한 느낌, 요리 느낌)는 약로스팅에서 퓨어 브루, 중, 강 로스팅에서 V60에서 많았다. 푸르푸랄은 약로스팅에서 퓨어 브루, 중, 강 로스팅에서 V60에서 많았다. 메틸피라진(초콜렛, 옥수수, 견과류) 또한 약로스팅에서 퓨어 브루 추출이 많았다. 케톤류 중 2,3-뷰테인디온, 2,3-펜테인디온은 약로스팅에서는 V60, 중, 강 로스팅에서는 퓨어 브루에 많았다. 추출 방식과 성분 함량을 주성분 분석한 결과, 퓨어 브루는 특히 약로스팅에서 여타 세 가지 추출과는 구분되었으며 중, 강 로스팅에서는 프렌치프레스와 퓨어 브루가 유사한 면모를 보였고 V60과 에어로프레스는 약, 중, 강로스팅에서 어느 정도 독자적인 모습을 나타냈다. 

  

인용(APA): Santanatoglia, A., Caprioli, G., Cespi, M., Ciarlantini, D., Cognigni, L., Fioretti, L., ... & Vittori, S. (2023). A comprehensive comparative study among the newly developed Pure Brew method and classical ones for filter coffee production. LWT, 114471.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2364382300049X

 

 

  **

요약:  Wu팀(2023)은 발효 커피가 근적외선 분광(피크치가 낮음)과 헤드스페이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성분 형태(과일향과 관계 있는 2-메틸피라진, 푸르푸릴 아세테이트 함량이 보다 높음)에서 일반 커피와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Wu, H., Viejo, C. G., Fuentes, S., Dunshea, F. R., & Suleria, H. A. (2023). The Impact of Wet Fermentation on Coffee Quality Traits and Volatile Compounds Using Digital Technologies. Fermentation, 9(1), 68.

 

링크:  https://www.mdpi.com/2311-5637/9/1/68

 

 

  **

요약:  Vochozka팀(2023)은 뉴욕, 시카고, 로스앤젤리스의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커피 상품군 가격 흐름을 비교해, CPI와 커피 상품군 가격은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있으며(R=0.57-0.61)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가격 예측이 가능하지만 특정 시기부터는 커피 가격이 새로운 수준에서 변동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인용(APA): Vochozka, M., Janek, S., & Rowland, Z. (2023). Coffee as an Identifier of Inflation in Selected US Agglomerations. Forecasting, 5(1), 153-169.

 

링크:  https://www.mdpi.com/2571-9394/5/1/7

 

 

 

<< 커피리브레 홈페이지 아카이브에서 여러 커피 정보를 확인하세요. >>

링크: https://coffeelibre.kr/board/free/list.html?board_no=2


첨부파일

비밀번호

비밀번호 입력후 수정 혹은 삭제해주세요.

댓글 수정

이름

비밀번호

내용

/ byte

수정 취소
비밀번호
확인 취소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