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제목

2023년 10월 4주 커피자료 묶음

작성자 커피 리브레(ip:)

작성일 2023-10-23 19:51:57

조회 287

평점 0점  

추천 추천하기

내용


2023년 10월 4주 커피자료 묶음

자료수집기간 20231014-1020

 

 

● 지난주의 주요 커피 연구

 

▶ 커피 녹병 감염 정도가 심각한 토지가 6헥타르 있다면 이중 1헥타르 정도는 농민이 다른 작물로 전환하려 한다. 감염 정도가 중간 정도라면 전환 의향 비율은 10: 1 꼴이다. (Tijerino)

▶ 평소 질소 공급량이 풍부한 커피나무는 이후 질소 부족 및 수분 스트레스 하에서도 뿌리 생성량을 늘려 잘 견딜 수 있다. (Martinez팀)

▶ 카훼올이 초파리의 생명 연장에 기여하는 경로는 음식 섭취량 감소가 아닌 인슐린 신호 경로, 단백질 키네이스 경로로 보인다. (Cho & Park)

▶ 커피 음용은 편두통과는 잠재력으로 관련성이 있고 기타 신경계 질환과는 관련성이 없다. (Zhang팀)

▶ 유동층 로스터 결과물은 드럼 로스터 결과물 대비 휘발성 성분 발생량이 적다. 열풍 로스터 결과물은 반열풍 로스터 결과물 대비 더 어둡고 더 녹색, 파랑색이다. (Rahayuningtyas팀, Putri팀)

 

 

<< 커피리브레 홈페이지 아카이브에서 여러 커피 정보를 확인하세요. >>

링크: https://coffeelibre.kr/board/free/list.html?board_no=2

 

 

 

  **

요약:  de Oliveira & de Oliveira(2023)는 2008-2022년 사이 문헌 자료 메타 분석을 통해 커피 품종 별로 로스팅 정도, 분쇄 크기, 사용량은 커피 음료의 영양 속성과 관능 속성에 영향을 미치고, 블렌딩 조합은 커피 유통망의 환경, 경제, 사회적 속성의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한다.   

  

인용(APA): de Oliveira, G. H. H., & de Oliveira, A. P. L. R. (2023). Coffee Blending and Grinding: Nutritional, Sensorial and Sustainable Aspects.

 

링크:   https://www.preprints.org/manuscript/202310.1110/v1

 

 

  **

요약:  Flor-Vélez팀(2023)은 에콰도르 마나비 지역의 커피혼농임업지(총 21개 식물종) 조사를 통해, 커피혼농임업지는 탄소 저장 잠재력이 높다는 것과 종의 다양성은 각 조사지역의 구조 변수 및 다양성과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자료를 바탕으로, 커피혼농임업이 토착 식물종 보존과 기후 변화 저감에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말한다. 

  

인용(APA): Flor-Vélez, J. R., Montes-Escobar, K., Corzo-Bacallao, J., Garcés-Fiallos, F. R., & Salas-Macías, C. A. (2023).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diversity and carbon storage in aboveground biomass of coffee agroforestry systems in southern Manabí, Ecuador. Agroecology and Sustainable Food Systems, 1-16.

 

링크: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21683565.2023.2270449

 

 

  **

요약:  Zulfania & Soebiantoro(2023)는 제품 구매 결정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문헌상에 나타난 제품 품질, 브랜드 이미지 요소에 관해, 인도네시아에서 104명을 대상으로 네스카페 인스턴트 커피 제품의 구매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제품 품질과 브랜드 이미지는 제품 구매 결정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APA): Zulfania, M., & Soebiantoro, U. (2023). The Influence of Product Quality and Brand Image on Purchase Decisions of Nescafe Coffee in Packaging Ready to Drink in Surabaya City. Indonesian Journal of Business Analytics, 3(5), 1673-1684.

 

링크:   https://journal.formosapublisher.org/index.php/ijba/article/view/5462

 

 

  **

요약:  Kananu팀(2023)은 케냐 키리냐가 지역의 여러 농생태계 영역을 대상으로 소규모 커피 농가의 재배 작물 다양화가 선택한 작물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핀 결과, 식량 작물의 생산성은 0.379로 낮은 편이고, 작물 다양성과 선택 작물 생산성 간 관련성이 존재하며, 작물 생산성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경관 이질성(다양한 식물종이 자라고 있는 정도로서 이질성이 높으면 생물 서식지가 늘어나고 생산성이 안정적임), 작물 순환(순환이 높으면 토양 비옥도가 커지고 병해충 주기가 깨지고 잡초가 억제됨), 작물 선택종 다양성(다양성이 높으면 병해충 저항력, 생산성이 높고 강우 변동 대응이 좋으며 비료 요구량이 감소), 토지 면적(토지 면적이 넓을수록 경관 이질성이 큼)인데 비해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농생태 구역이라고 말한다. 

  

인용(APA): Kananu, M. P., Kingori, G. G., Muriithi, D. K., & Ann, N. N. Effects of Crop Diversification on Food Crop Productivity Among Smallholder Coffee Farmers in Kirinyaga County, Kenya.

 

링크: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Pauline-Micheni/publication/374738786_Effects_of_Crop_Diversification_on_Food_Crop_Productivity_Among_Smallholder_Coffee_Farmers_in_Kirinyaga_County/links/652c2acb06bdd619c493b71c/Effects-of-Crop-Diversification-on-Food-Crop-Productivity-Among-Smallholder-Coffee-Farmers-in-Kirinyaga-County.pdf

 

 

  **

요약:  Tijerino(2023)는 니카라과 농무부 자료(2012-2013)를 바탕으로, 커피 녹병 감염지의 감염 정도와 커피 재배 농민의 작물 교체 의향 사이에 유의한 양의 관계(감염도가 심각한 경우 0.172로서, 이는 심각한 감염지 5.8만자냐(1만자냐=0.7헥타르) 당 1헥타르의 재배지 전환이 있음; 감염도가 중간 정도인 경우는 0.1019로서 9.8:1의 비율)가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Tijerino, F. A. M. (2023). Revisiting coffee replacement decisions in the aftermath of the 2012-2013 coffee rust event in Nicaragua. La Calera, 23(41).

 

링크:   https://camjol.info/index.php/CALERA/article/download/16830/20053?inline=1

 

 

  **

요약:  Martinez팀(2023)은 브라질 미나스 제라이스 주 비소사 연방대학 온실에서 여러 품종 묘목을 대상으로 여러 수분 스트레스 및 질소 공급 환경에서 커피나무의 생장 및 생산 정도를 살핀 결과, 고질소 공급하에서는 아카우아 - 까뚜아이 베르멜류 - 문도 노보, 까뚜아이 아마렐로 순으로 수분 스트레스에 안정적인 생장성을 보였다고 말한다. 저자는 장기 질소 스트레스 하에서는 까뚜아이 베르멜류를 제외한 타 품종은 안정적인 생산성을 보였다고 말한다. 한편, 질소 공급량이 충분했다가 질소 부족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 커피나무는 질소 부족 스트레스 환경이 닥치면 뿌리 성장이 커져 뿌리쪽으로 건조 물질을 더 많이 보내고, 이는 이후 물 부족 스트레스도 닥칠 경우 싹에서의 건조 물질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질소 스트레스에 대한 이러한 대응은 품종 별로 달라, 까뚜아이 베르멜류 대비 아카우아와 까뚜아이 아마렐로에서 뿌리 물질량이 2.3, 1.9배 더 많다고 말한다. 물 부족 상황에서는 질소 공급량이 높을수록 싹의 건조 물질량 대 뿌리의 건조 물질량 비는 더 높았으나, 아까우아와 까뚜아이 아마렐로는 해당 관련성이 적게 나타났다. 

  

인용(APA): Martinez, H. E. P., Bohorquez, C. A. A., & Cecon, P. R. (2024). Efficiency of absorption, translocation, and use of nitrogen by water-stressed coffee. Acta Scientiarum. Agronomy, 46(1), e62923-e62923.

 

링크:   https://periodicos.uem.br/ojs/index.php/ActaSciAgron/article/view/62923

 

 

  **

요약:  de Alvarenga팀(2023)은 드론(DJI 모델 Agras T20)을 사용해 분사 팁(4개 모델) 및 살포량(헥타르 당 8-16L)에 따른 항공 식물 위생 물질 살포(기타 변수는 속도 5.56m/s, 고도 2m, 살포 범위 5m, 재배 이랑에 대해 수직 방향 비행으로 고정) 의 효율성을 살핀 결과, 분사 팁과 살포량 모두 살포액의 적층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 저자는 자료를 바탕으로, 드론 살포는 특히 상부 1/3 부분에 대해 커피 위생 물질 살포에 효과적이라고 설명한다. 

  

인용(APA): de Alvarenga, C. B., Zampiróli, R., da Cunha, J. P. A. R., Rinaldi, P. C. N., da Cunha, B. A., & Faria, L. O. (2024). Application rate and hydraulic tips used in remotely piloted aircraft affect the phytosanitary products in coffee plant canopies. Acta Scientiarum. Agronomy, 46(1), e62969-e62969.

 

링크:  https://periodicos.uem.br/ojs/index.php/ActaSciAgron/article/view/62969

 

 

  **

요약: Castro팀(2023)은 커피 과육에서 페놀 성분을 회수하는 공정에서 Flash Vacuum-Expansion 가공(FVE, 대기압 하(101.3kPa)의 가열 챔버에 목적물을 투입하고 10분간 열에 노출해 증기가 빠져나오도록 한 뒤 목적물을 진공(3kPa) 챔버로 옮겨 급격히 팽창시키는 동시에 냉각하는 방식)을 적용할 경우 에탄올 추출물 내 페놀 화합물 함량은 20.97% 증가한다고 말한다. 또한, 추출물을 마이크로캡슐화할 때 말토덱스트린과 아라비아고무 모두 미생물 대응 안정성이 있찌만 말토덱스트린 쪽이 입자 크기와 흡습성을 줄이고 생상과 흐름 속성 및 페놀 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Castro, U. R. M., Sánchez, C. A. O., Ortiz, M. A. V., Cervantes, M. A. S., Díaz, M. P. R., Servent, A., & Arredondo, V. M. R. (2023). Coupling Flash Vacuum Expansion and Spray Drying to Produce Stable Polyphenolic Extract from Coffee Exocarp. In Biol. Life Sci. Forum (Vol. 26).

 

링크: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Manuel-Vargas-Ortiz/publication/374725080_Coupling_Flash_Vacuum_Expansion_and_Spray_Drying_to_Produce_Stable_Polyphenolic_Extract_from_Coffee_Exocarp/links/652afd6f0e4a1710e50977ea/Coupling-Flash-Vacuum-Expansion-and-Spray-Drying-to-Produce-Stable-Polyphenolic-Extract-from-Coffee-Exocarp.pdf

 

 

  **

요약:  Caldwell팀(2023)은 푸에르토리코에서 콜레토트리쿰 속 및 푸사리움 속 병원균에 의한 커피열매병 발생과 관련해 현지 조사 결과 지역 전역에서 커피열매병이 나타나고 그 발생율과 심각도는 환경과 재배 요인에 따라 달리(고도가 높고 그늘이 많으면 발생율 감소, 커피베리보러 피해를 입을 경우 감염율이 높음) 나타난다고 말한다. 저자는 커피열매병과 관련해 7개 병원균을 분리했고 이중 주요 균주는 콜레토트리쿰 및 푸사리움 속에 속한다고 말한다. 

  

인용(APA): Caldwell, M. Y., Mariño, Y. A., Medina, A. G., Serrato-Díaz, L. M., & Bayman, P. (2023). Coffee fruit rot in Puerto Rico: distribution, ecology and associated fungi. Europ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1-14.

 

링크: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658-023-02781-1

 

 

  **

요약:  Cho & Park(2023)은 커피의 디테르펜 성분인 카훼올이 초파리(Caenorhabditis elegans)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과거 실험 결과(음식 섭취량을 줄여 지방 축적을 줄임)를 바탕으로 수명 연장과의 관련성을 살폈다. 연구 결과, 카훼올은 초파리 수명 연장에 기여했지만 이는 음식 섭취량 감소 때문이 아닌 인슐린/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 신호 경로 및 AMK활성화 단백질 키네이스 경로를 통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APA): Cho, J., & Park, Y. (2023). Kahweol, a coffee diterpene, increases lifespan via insulin/insulin-like growth factor-1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pathways in Caenorhabditis elegans. Current Research in Food Science, 100618.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665927123001867

 

 

  **

요약:  Zhang팀(2023)은 바이오뱅크의 MRC-IEU 를 유전 도구로 사용해 커피 섭취와 신경계 질환(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근위축성측삭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간질, 뇌졸중, 편두통)과의 인과관계 여부를 살핀 결과, 커피 섭취는 편두통과의 잠재적 관련성이 있지만 기타 신경계 질환 및 해당 하위 유형 질환과는 유의한 관련성은 없다고 말한다. 

  

인용(APA): Zhang, J., Liu, Y., Xu, G., Cao, X., Wang, W., Zhang, D., & Zhu, M. (2023).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ffee intake and neurological diseases: a Mendelian randomization study.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6.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30-023-01355-y

 

 

  **

요약:  Sim팀(2023)은 초분광 이미지 근적외선 분석(HSI-NIR)과 머신 러닝 모델(PLS-DA, SVM, RBF-SVM, RF)을 결합해 산지를 구분하고 판별 가능 파장 영역을 확인하려는 실험 결과, 선형 SVM 모델은 대륙, 국가, 지역 단위에서 거의 완벽한 분류가 가능했고, 이 점에서 HSI-NIR 및 머신 러닝의 결합은 커피 산지를 신속하게 비파괴 선별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Sim, J., Dixit, Y., Mcgoverin, C., Oey, I., Frew, R., Reis, M. M., & Kebede, B. (2023). Machine learning-driven hyperspectral imaging for non-destructive origin verification of green coffee beans across continents, countries, and regions. Food Control, 110159.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56713523005595

 

 

  **

요약:  Yulianti팀은 로부스타 커피를 여러 속도 및 로스팅 정도 별로 열풍 로스팅할 경우, 원두의 밀도 0.309-0.357g/ml, 경도 5932.99-71654.87gf, 명도 34.44-39.98, 수분 함량 0.8073-1.5556%, 미네랄 함량 4.8010-5.3643%, pH 5.62-6.23, 카페인 함량 0.96-1.36%이고, 로스팅 정도가 높을수록 밀도, 경도, 수분 함량, 밝기 수치는 줄어들고 미네랄 함량, pH 값, 카페인 함량은 증가하며, 로스팅 속도가 느릴수록 수분 함량과 경도는 줄어들고 미네랄 함량, 밝기, pH 수치는 커진다고 말한다. 

  

인용(APA): Yulianti, L. E., Putri, D. P., Azizah, I. F., Witman, S., Karim, M. A., & Rahayuningtyas, A. (202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salak’Robusta Coffee With Hot Air Based Roasting Method. In BIO Web of Conferences (Vol. 69, p. 03014). EDP Sciences.

 

링크:   https://www.bio-conferences.org/articles/bioconf/abs/2023/14/bioconf_icafe2023_03014/bioconf_icafe2023_03014.html

 

 

  **

요약:  Rahayuningtyas팀(2023)은 로스터 형태(드럼, 유동층)와 로스팅 정도에 따른 로부스타 커피 속성을 살핀 결과, 로스팅 정도는 수분 함량, 미네랄 함량, 카페인 함량, 총 페놀 함량, 밀도, 색상, 분쇄 커피의 향, 추출 커피의 색상, 추출 커피의 향, 쓴맛, 신맛, 단맛에 영향을 미쳤고, 로스터 형태와 로스팅 정도의 상호 작용은 수분 함량, 총 페놀 함량, 밀도, 색상, 분쇄 커피의 향, 추출 중 향, 쓴맛, 신맛에 영향을 미쳤으며, 드럼 로스터를 사용한 경우 약, 중, 강 로스팅에서 휘발성 성분 46, 48, 48가지를 발견했으나 유동층 로스터를 사용한 경우 로스팅 정도별로 40, 20, 18가지를 발견했다고 말한다. 저자는 로스터 형태와 로스팅 정도는 카페인을 제외한 여러 속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인용(APA): Rahayuningtyas, A., Ardiasnyah, C. E., Setiyoningrum, F., Sagita, D., Sudaryanto, A., Furqon, M., ... & Hidayat, D. (2023). Evaluation of Fluidized-Bed and Drum Roaster Performance in Roasting of Robusta Green Bean. In BIO Web of Conferences (Vol. 69, p. 03006). EDP Sciences.

 

링크:   https://www.bio-conferences.org/articles/bioconf/abs/2023/14/bioconf_icafe2023_03006/bioconf_icafe2023_03006.html

 

 

  **

요약:  Putri팀(2023)은 로스터 형태(반열풍, 열풍)와 로스팅 정도(약, 중, 강)가 다른 경우 로스팅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로스터 형태는 분쇄 커피의 색에 한해 유의한 영향을 미쳐, 반열풍 로스터가 열풍 로스터 대비 L값(높을수록 더 밝음; 약로스팅에서 53.65 > 49.15, 중로스팅에서 48.31 > 45.68, 강로스팅에서 43.27 > 41.28), a값(+는 빨강, -는 녹색; 11.10 > 9.75, 9.27 > 7.48, 5.54 > 3.77), b값(+는 노랑, -는 파랑; 18.59 > 14.23, 13.44 > 11.21, 7.99 > 5.65)이 각각 더 높다고 말한다. 저자는 로스팅 정도가 높으면 밀도(0.41-0.52g/ml), 수분 함량(1.24-2.57%), 색상값(L, a, b값)은 줄어드는데 비해 미네랄 함량(4.53-5.00%), 카페인 수치(1.86-2.02%)는 높아진다고 말한다. 

  

인용(APA): Putri, D. P., Andriansyah, R. C. E., Setiyoningrum, F., Yulianti, L. E., & Hidayat, D. D. (202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obusta coffee at various roasting levels using different roaster types. In BIO Web of Conferences (Vol. 69, p. 03016). EDP Sciences.

 

링크:   https://www.bio-conferences.org/articles/bioconf/abs/2023/14/bioconf_icafe2023_03016/bioconf_icafe2023_03016.html

 

 

  **

요약:  Kant팀(2023)은 2020-2023년 사이 에티오피아 오로미아 구지 지역 내 1차 커피 조합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산 대비 수익을 기준으로 수익성을 나타낼 경우, 자산에 대한 단기 부채 양과 자산 및 총자기자본에 대한 총 부채 양은 수익성과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으나 자기자본에 대한 총 부채 양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다고 말한다. 이외, 규모와 자산 유형성, 자산 활용 효율성과 유동성 또한 수익성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수익성을 자기자본이익율로 나타낼 경우에는 자산에 대한 단기 부채는 수익성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고, 자본 대비 총 부채는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APA): Kant, S., Birhane, M., Amentie, C., & Borji, B. (2023). Effect of Capital Structure on Firm Performance: Evidence from Ethiopian Farmers Coffee Coopera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and Finance, 1(4).

 

링크:   https://irshadjournals.com/index.php/ijmf/article/view/123

 

 

  **

요약:  Acosta-Trinidad팀(2023)은 페루 옥사빰빠에서 9개 커피 유전자형 씨앗을 내과피가 있는 상태 또는 없는 상태로 심어 묘목의 생육 상태를 살폈다. 실험 결과, 붉은색 까뚜라인 UNACAF-89(발아 57%, 성장율 4.04mm/주), 까띠모르인 UNACAF-116(생묘목 무게 0.64g, 묘목 활력 지수(53.79), 상부 생 무게(2.36g), 뿌리 생 무게(1.27g), 상부 건조 무게(0.53g), 뿌리 건조 무게(0.16g), 뿌리 부피(1.25ml)), 오바타 품종인 UNACAF-250(건조 묘목 무게(0.13g), 묘목 높이(10.13cm)), 노란색 까뚜라인 UNACAF-188(발아 속도(일 1.17개체), 게이샤 품종인 UNACAF-213(묘목 지름 2.81mm)가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저자는 내과피를 제거한 쪽이 발아율, 발아 속도, 묘목 활력 지수, 뿌리 생 무게, 뿌리 부피 면에서 보다 우수했고, 붉은색 까뚜라인 UNACAF-89가 개체수와 잎 수에서 가장 우수했다고 말한다. 

  

인용(APA): Acosta-Trinidad, L., Soplin-Villacorta, H., & Chura-Chuquija, J. Removal of the endocarp in the emergence, vigor and pre-transplantation phenology of seedlings of seeds of nine coffee genotypes, in Oxapampa.

 

링크:   https://alicia.concytec.gob.pe/vufind/Record/REVUNALM_d1cbec7cfd23086ecbc172e73457e92b

 

 

  **

요약:  Bahamon Monje팀(2023)은 정제 및 분류 형태(분류 안함, 분류하고 식수로 정제, 분류하고 약제(상품명 Timsen, n-알킬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다목적 광범위 살균제)로 정제)와 발효 시간(12-96시간)을 달리 해 커피를 발효하고 생화학 속성을 살폈다. 연구 결과, 정제 유무는 pH 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pH 값은 36시간 이후 안정화되었다. 또한 정제 유무와 발효 시간은 카페인 함량과 클로로겐산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커피 온도는 실온과 평형을 이루었는데, 저자는 이 점에서 정제가 발효 중 온도 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저자는 약제를 사용한 살균 결과 미생물 군집이 달라지고 관능 속성이 개선되었으며, 이는 48-96시간 발효에서 두드러졌다고 말한다. 저자는 자료를 바탕으로, 염화암모늄 계 살균제를 사용할 경우 특히 오랜 발효 공정에서 커피 제품 안전과 품질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Bahamon Monje, A. F., Sánchez-Riaño, A. M., Vega-Oliveros, C., Ladino-Garzón, W. L., Orozco-Blanco, D. A., Gutiérrez-Guzmán, N., & Amorocho-Cruz, C. M. Effects of the Fruit Sanitization Method and Fermentation Times on Quality Parameters of Coffee Beans. Available at SSRN 4602656.

 

링크: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4602656

 

 

  **

요약:  López Rodríguez팀(2023)은 코트디부아르에서 가공 과정이 다른 커피의 오크라톡신 A(OTA) 함량을 조사한 결과, 수확 직후 커피에서는 OTA함량이 3.62μg/kg인데 비해 가공 후 건조한 커피에서는 모든 커피에서 OTA가 검출되었고 함량은 11.04-760.24μg/kg에 달한다고 말한다. 저자는 가공 후 커피는 고유한 곰팡이 군체가 나타나고 균주도 더 다양하다고 지적한다. 가공 전 주요 곰팡이류는 히포피키아, 베르네토지마 속인데 비해 가공 후 주요 곰팡이는 쿠르츠마니엘라, 메이에로지마, 푸사리움이었다. 저자는 OTA 생성에 아스페르길루스 카르보나리우스 곰팡이가 관여한다고 보고, 일부 이스트 개체군을 이용하면 이를 억제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López Rodríguez, C., Strub, C., Chochois, V., Verheecke-Vaessen, C., Durand, N., Jourdan, C., ... & Schorr-Galindo, S. Effect of post-harvest management practices on the mycobiome and ochratoxin A contamination of differently processed Robusta coffees from Ivory Coast.

 

링크: https://dspace.lib.cranfield.ac.uk/handle/1826/20372 

 

 

  **

요약:  Echeverry팀(2023)은 2015-2021년 사이 콜롬비아 깔다스 지역 커피 농민 136명의 생산 비용 자료 및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당 커피 농민의 경제 효율성은 평균 89%이고, 농민 80명(59%)는 경제 효율성이 90% 이상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이를 바탕으로, 해당 연구 기간 내에서는 구조적 비효율성이 없었고, 이는 커피 농민은 활용 가능한 기술을 사용해 자신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인용(APA): Echeverry, H. M. S., Orrego, H. D., & Granobles-Torres, J. C. (2023). The Economic Efficiency of Coffee Growers in the Department of Caldas, Colombia. Economies, 11(10), 1-16.

 

링크:   https://ideas.repec.org/a/gam/jecomi/v11y2023i10p255-d1258138.html

 

 

  **

요약:  Kungsuwan팀(2023)은 저온 플라즈마 기법(전기 방전으로 일으키는 인공 플라즈마는 온도가 낮으면서 높은 화학 활성과 자외선 생성 특성이 있고 부산물이 없다는 점을 이용해 친환경 살균 및 종자 처리에 이용하는 방식)을 시간을 달리해 아라비카 생두 추출물에 적용하는 경우 항산화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연구 결과, 플라즈마 처리시 DPPH 라디칼 소거 능력은 35분째까지 점차 늘어나 비처리 대비 최대 66% 증가했으며, 페놀 화합물 총량 또한 이와 유사하게 증가했고, 단백질 크기는 소폭 증가, 클로로겐산과 카페인, 자유 아미노산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했고 수크로스 함량은 변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는 이를 바탕으로, 플라즈마 조사가 단백질과 페놀 화합물에 대해 접합을 일으킨 것으로 보았다. 저자는 플라즈마 조사가 생두 추출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말하며,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생두 추출물의 기능성 강화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Kungsuwan, K., Sawangrat, C., Ounjaijean, S., Chaipoot, S., Phongphisutthinant, R., & Wiriyacharee, P. (2023). Enhancing Bioactivity and Conjugation in Green Coffee Bean (Coffea arabica) Extract through Cold Plasma Treatment: Insights into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Protein Conjugates. Molecules, 28(20), 7066.

 

링크:  https://www.mdpi.com/1420-3049/28/20/7066

 

 

  **

요약:  Abaya팀(2023)은 2020년 3월-2021년 2월 사이 에티오피아의 커피 가공장(3개 지역 9개 가공장, 180개 공기 샘플)에서 커피 열매의 박테리아 오염과 인체 내독성 노출과의 관련성을 살폈다. 연구 결과, 분진 흡입 노출량 평균치는 실내 작업자는 9.58mg/m3, 핸드픽 작업자는 2.56mg/m3, 내독소 노출량 평균치는 각각 10,198 EU/m3, 780 EU/m3 으로서 직업 기준에 대한 네덜란드 전문위 권고치(90 EU/m3)를 크게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진 흡입 노출량과 내독소 노출량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저자는 커피 샘플(54종) 모두에서 그람 음성 박테리아가 검출되었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에 따라, 1차 커피 가공에서 박테리아 오염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Abaya, S. W., Bråtveit, M., Kumie, A., Deressa, W., & Moen, B. E. Bacterial contamination of coffee and personal exposure to inhalable dust and endotoxin in primary coffee processing factories in Ethiopia. Annals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링크:   https://www.aaem.pl/Bacterial-contamination-of-coffee-and-personal-exposure-to-inhalable-dust-and-endotoxin,173222,0,2.html

 

 

<< 커피리브레 홈페이지 아카이브에서 여러 커피 정보를 확인하세요. >>

링크: https://coffeelibre.kr/board/free/list.html?board_no=2

 


첨부파일

비밀번호

비밀번호 입력후 수정 혹은 삭제해주세요.

댓글 수정

이름

비밀번호

내용

/ byte

수정 취소
비밀번호
확인 취소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