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제목

2023년 11월 2주 커피자료 묶음

작성자 커피 리브레(ip:)

작성일 2023-11-06 18:52:04

조회 282

평점 0점  

추천 추천하기

내용


2023년 11월 2주 커피자료 묶음

자료수집기간 20231028-1103

 

 

● 지난주의 주요 커피 연구

 

▶ 작업자 동선 면에서, 일반 농장보다는 유기농 농장에서 작업자의 이동량은 더 많고 그만큼 녹병 등 병원균에 의항 커피나무 감염 위험도 더 높다.(Van Cauwelaert 팀)

▶ rs762551 변이 유전자로 인해 카페인 대사 속도가 느린 사람은 커피 섭취량이 많을수록 치매 위험이 줄어든다. 일반인의 경우 커피 섭취량 3잔까지는 치매 위험이 줄어든다. (Lefèvre-Arbogast팀)

▶ 감자맛 결점 잠재 발생 경로 및 커피향 속성 감소는 안테스티아 해충 침투 이후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다. (Cain팀)

▶ 루왁 커피는 사육 유무에 따라 일반 커피 대비 지질, 아세트산 또는 말산, 구연산 함량이 다른데, 특히 말산 성분은 루왁 커피의 항산화성 및 생활성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Febrina팀)

 

 

<< 커피리브레 홈페이지 아카이브에서 여러 커피 정보를 확인하세요. >>

링크: https://coffeelibre.kr/board/free/list.html?board_no=2

 

 

  **

요약:  Van Cauwelaert 팀(2023)은 농장 별(유기농, 재래식) 작업자의 이동 양태를 살핀 결과, 작업자는 열매가 맺힌 나무로 움직이기 위한 이동하는 상태(탐색, 발걸음 중 96%)와 열매를 따는 작업을 하며 머무르는 상태(수집, 발걸음 중 4%)에 있으며, 유기농 농장은 탐색 상태의 걸음 수가 더 높고 작업자 당 탐색 면적 또한 더 높다고 말한다. 저자는 작업자의 탐색 면적이 넓을수록 녹병 감염 지점이 더 많아진다고 진단하고, 병원균 확산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작업 시간 단축 및 열매 수가 적은 결실기 끝 기간에는 동선 단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인용(APA): Mora Van Cauwelaert Sr, E., Boyer, D., Jimenez-Soto, E., & Benitez, M. (2023). Harvesting trajectories in large-scale coffee plantations: ecological and management drivers and implications. Biorxiv, 2023-10.

 

링크:   https://www.biorxiv.org/content/10.1101/2023.10.31.564942v1.abstract

 

 

  **

요약:  Al-Kenany & Al-Shawi(2023)은 래트 실험을 통해 세포 유전자 독성 부작용이 있는 항암제인 독소루비신에 대한 커피 속 디테르펜 성분인 카페스톨의 세포 염색체, DNA 보호 효과를 살폈다. 저자는 연구 결과, 카페스톨을 14일간 체중 kg 당 5mg 공급하고 독소루비신을 14일째 체중 kg 당 90mg 공급해 독성을 유발한 래트는 독수루비신만 공급한 래트 대비 tail 부분의 DNA, 소핵 출현, 염색체 이상 수가 유의하게 줄어들고 유사분열 지수가 개선되었다고 말하며 카페스톨이 독소루비신에 의한 유전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Al-Kenany, S. A., & Al-Shawi, N. N. (2023). Protective Effect of Cafestol on Doxorubicin-induced Genotoxicity in Rats. Iraqi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P-ISSN 1683-3597 E-ISSN 2521-3512), 32(Suppl.), 16-25.

 

링크:   https://bijps.uobaghdad.edu.iq/index.php/bijps/article/view/2494

 

 

  **

요약:  Cunha팀은 환경 취약성에 관여하는 경관 요소(경사 정도, 경사 흐름량, Landsat 8 위성 사진 등)를 적용해 커피나무의 생산 잠재력을 추정하는 모델을 2016, 2018, 2020년의 브라질 미나스 제라이스 주 밤부이 지역에 적용한 결과, 상관 관계가 각각 0.85, 0.91, 0.93으로 만족스런 결과가 나타났다고 말한다. 

 

인용(APA): Cunha, J. E. F., Martins, G. D., Fraga Júnior, E. F., Camboim, S. P., & Bravo, J. V. M. (2023). A Multicriteria Model for Estimating Coffea arabica L. Productive Potential Based on the Observation of Landscape Elements. Agriculture, 13(11), 2083.

 

링크:  https://www.mdpi.com/2077-0472/13/11/2083

 

 

요약:  Lefèvre-Arbogast팀(2023)은 5964명(3개 도시민, 평균 74세)를 대상으로 일일 커피 소비량, 게놈 유저자형 분석, 평균 9년간에 걸친 치매 추적 연구 결과, 커피 소비량과 치매 발생 위험 간 관계는 CYP1A2 유전자에서 카페인 대사에 관여하는 다형성인 rs762551 과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rs762551 변이 유전자가 있어 카페인 대사 속도가 느린 사람은 커피 섭취량이 많을수록 치매 위험도 줄어드는데 비해, 카페인 대사 속도가 빠른 경우는 일일 커피 3잔까지는 치매 위험이 감소하고 이후는 위험이 증가하는 형태를 보인다고 말한다. 

  

인용(APA): Lefèvre-Arbogast, S., Helmer, C., Berr, C., Debette, S., & Samieri, C. (2023). Habitual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dementia in older persons: modulation by CYP1A2 polymorphism. 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 1-6.

 

링크: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654-023-01060-x

 

 

  **

요약:  KOYAMA(2023)은 필리핀 루손 섬 벵겟주 내 야자수 재배지 내 커피 농장과 인근 삼림에서의 야생조류 조사 결과, 농장에서 4-20종, 삼림에서 5-23종을 확인했으며, 상당수는 곤충을 포식하는 종이었고, 여름 철새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저자는 자료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커피 농장이 야생 조류를 늘려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커피나무의 해충을 방지하고 일본의 철새 월동지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인용(APA): KOYAMA, K. (2023). Agroforestry coffee farm for bird habitat conservation in Luzon Island, Philippines―Japan Bird Research Association―. Annual Report of Pro Natura Foundation Japan, 32, 202-210.

 

링크:   https://www.jstage.jst.go.jp/article/pronatura/32/0/32_202/_article/-char/ja/

 

 

  **

요약:  Kırıs & Zilan(2023)은 투르키예 내 여러 지역에서 수집한 총 28개 커피제품 샘플에서 고해상도 감마선 분광기를 사용해 방사선 핵종을 살핀 결과, 세슘 137은 미검출, 라듐 226 검출량은 평균 1.24베크렐(Bq, 1초에 1개의 원자핵이 붕괴하는 것)/kg, 토륨 232는 평균 1.51Bq/kg, 칼륨 40은 496.24Bq/kg 라고 말한다. 저자는 각 커피 샘플의 총 유효선량은 유엔과학위원회(UNSCEAR)의 한계치 290/μSv.1년 보다 낮고, 연간 커피 소비량 및 일일 평균 커피 소비량은 최저 소비 역치율보다 낮으며, 커피 섭취로 인한 암 발생 위험 또한 권고 안전 수준 미만이라고 말한다. 

  

인용(APA): Kırıs, E., & Zilan, Ö. (2023). Measurements of some radionuclides in coffee samples using gamma-ray spectrometry and evaluating radiological health risk to the Turkish public.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alytical Chemistry, 1-21.

 

링크: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3067319.2023.2271845

 

 

  **

요약:  Salmiah팀(2023)은 인도네시아 내 282명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소셜 미디어 기술은 커피 업체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비해 입소문은 그렇지 않고, 커피 업체에 대한 신뢰는 고객의 구매 의도 및 고객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구매 의도와 고객 충성도 간 직접적인 유의한 관련성은 없다고 말한다. 

  

인용(APA): Salmiah, S., Sahir, S., & Fahlevi, M. (2024). The effect of social media and electronic word of mouth on trust and loyalty: Evidence from generation Z in coffee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Data and Network Science, 8(1), 641-654.

 

링크:   http://growingscience.com/beta/ijds/6512-the-effect-of-social-media-and-electronic-word-of-mouth-on-trust-and-loyalty-evidence-from-generation-z-in-coffee-industry.html

 

 

  **

요약:  Aragão팀(2023)은 대서양 연안 지역에서 토양 속성과 토지 이용을 살피고 해당 변수가 미생물 속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바탕으로 한 커피 재배를 위한 토양 구분 이용법을 살피는 연구를 통해, 모든 토양 속성에서 산림 식생이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량, 미생물 기저 호흡량, 대사 지수, 요소 분해 활성도가 더 높고, 페라솔(열대성 습윤 지방 토양으로 층간 경계가 모호함, 점토량이 많음, 유/무기물은 상부에 집중) 지역 대비 플라노솔(일정 기간 물이 고인 토양으로 환원이 일어나 상하부 점토 함량이 다름) 지역은 모래 조직으로 인해 미생물 바이오매스가 저조하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커피 재배지와 삼림 간 차이는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 인 함량, 유기물 함량, 플루오세린 디아세테이트 가수 분해물, 요소 활성도, 잔존 인, pH, 잠재 양이온 교환능, 산 포스파테이즈 활성도, 미생물 기저 호흡, 잠재 산도, 구리 함량, 아연 함량에서 두드러진다고 말한다. 

  

인용(APA): Aragão, O. O. D. S., da Conceição Jesus, E., de Oliveira-Longatti, S. M., Souza, A. A. D., & de Souza Moreira, F. M. (2023).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ttributes as Discriminators of Coffee-Growing and Forest Sites in Different Soils in the Brazilian Atlantic Forest Biome. Journal of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1-10.

 

링크: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42729-023-01532-9

 

 

  **

요약:  Lubis & Syafii(2023)는 인도네시아 공식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인도네시아의 실질 국내총생산과 환율, 인구수는 커피 수출량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데 비해 커피 가격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인용(APA): Lubis, M. S., & Syafii, M. (2023).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Indonesian Coffee Export Volume Abroa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Multidisciplinary Research, 1(9), 1201-1210.

 

링크:   https://journal.formosapublisher.org/index.php/ijsmr/article/view/6557

 

 

  **

요약:  Wulanjari팀(2023)은 요소 비료의 형태로 용량을 달리(15-30g, 순 질소 함량 6.9-13.8g) 해 커피 묘목에 공급하고 30일간 배양 후 나무 속성을 살핀 결과, 엽록소 함량을 제외한 다른 농학 변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다만 식물 조직 면에서 책상조직 두께, 표피 세포 크기, 하부 표피 세포의 규칙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에 따라 질소 비료 공급에 대한 단기 반응은 조직 수준에 그친다고 말한다. 

  

인용(APA): Wulanjari, D., Wijaya, K. A., & Kriswanto, B. (2023). Anatomical and Agronomic Responses of Arabica Coffee Seedlings (Coffea arabica) to Addition of Nitrogen. Techno Jurnal Penelitian, 12(2).

 

링크:   https://ejournal.unkhair.ac.id/index.php/Techno/article/view/4242

 

 

  **

요약:  Cain팀(2023)은 감자맛 결점의 원인물질인 2-이소프로필-3-메톡시피라진 성분에 더해 커피콩의 휘발성 프로필 변화가 감자맛 결점 냄새를 강화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아라비카 원두에서 헤드스페이스 고체상 미소 추출 - 비행시간 질량분석을 통해 휘발성 물질을 살폈다. 연구 결과, 정상 커피와 감자맛 결점을 구분하는 성분으로 총 359개(정상 커피에서 327개는 함량이 높음, 감자맛 결점두에서 32개가 함량이 높음)를 확인했고, 해당 성분 조사를 통해 안테스티아로 인한 피해가 발생한 이후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감자맛 결점두의 잠재 발생 경로이며, 이러한 피해로 인해 긍정적인 커피향 속성이 전체적으로 줄어드는 것임을 확인했다고 말한다. 

 

인용(APA): Cain, C. N., Gaida, M., Stefanuto, P. H., Focant, J. F., Synovec, R. E., Jackels, S. C., & Skogerboe, K. J. (2023). Investigating sensory-classified roasted arabica coffee with GC× GC-TOFMS and chemometrics to understand potato taste defect. Microchemical Journal, 109578.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26265X23011979

 

 

  **

요약:  Kuncoro팀(2023)은 커피꽃에서 채취한 순수 꿀과 옥수수 시럽, 쌀 시럽을 첨가한 혼합물을 분류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에서, 365nm 파장을 조사해 방출 스펙트럼을 300-800nm 범위에서 측정해 전처리할 경우 정확도, 감도, 특이도 면에서 100% 성과를 보였다고 말한다. 저자는 378nm 및 460nm 에서 피크가 있고, 이는 페놀 성분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있음을 말한다고 설명한다. 

 

인용(APA): Kuncoro, S., Suhandy, D., Warji, W., & Ervandi, D. (2023). Use of Portable Fluorescence Spectroscopy and SIMCA Method to Test The Authenticity of Apis mellifera Honey From Coffee Flower Nectar Mixed With Two Artificial Sweeteners. Jurnal Teknik Pertanian Lampung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12(4), 875-885.

 

링크:   https://jurnal.fp.unila.ac.id/index.php/JTP/article/view/7351

 

 

  **

요약:  Veloso팀(2023)은 브라질의 주요 식물군(아마존, 대서양 삼림, 카팅가, 세하두) 내 아라비카 및 로부스타 커피 재배 토양 및 열매에 대한 미생물 군집 연구를 진행했다. 총 188개 샘플에 대한 미생물 DNA 추출과 염기서열 분석 결과, 토양에서 1000개 이상, 열매에서 500개 이상의 박테리아 및 곰팡이 균주를 확인했다고 말한다. 저자는, 토양과 커피종에 따라 개체군이 많은 미생물 균주(바실루스 바타베인시스 - 카팅가 건조 토양; 사이토지마 속 - 아라비카 재배 토양)가 존재한다고 말하고, 재배지와 재배종에 따라 미생물 조성에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Veloso, T. G. R., da Silva, M. D. C. S., Moreira, T. R., da Luz, J. M. R., Moreli, A. P., Kasuya, M. C. M., & Pereira, L. L. (2023). Microbiomes associated with Coffea arabica and Coffea canephora in four different floristic domains of Brazil. Scientific Reports, 13(1), 18477.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3-45465-w

 

 

  **

요약:  Wulandari팀(2023)은 점토를 연소실 내벽(두께 10mm)으로 사용하는 반 열풍식 로스팅 기기에서의 열 전달 과정을 살핀 결과, 연소실 벽체에서 생성된 열로 인한 온도 대비 뜨거운 공기 흐름에서 나타나는 온도가 더 높고, 이는 점토 내벽에서의 열전도가 낮은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저자는 다만, 점토를 내벽으로 사용한 로스터는 알루미늄 내벽 로스터 대비 결과물의 관능 속성(색, 향, 맛)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인용(APA): Wulandari, R., Mizar, M. A., Aminnudin, A., Dirgantara, I., Luthfianto, A. D. N., & Sihassaleh, P. (2023, October). Heat transfer through a clay furnace in a coffee roasting machine to produce coffee with a distinctive aroma. In AIP Conference Proceedings (Vol. 2837, No. 1). AIP Publishing.

 

링크:   https://pubs.aip.org/aip/acp/article/2837/1/060005/2918673

 

 

  **

요약:  Nyangoma(2023)는 1965-2021년 사이 우간다 커피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는 요인(국내 커피 생산량, 외국인 직접 투자, 총고정자본형성, 무역 개방 정도, 환율, 국내 총생산)의 실제 영향력을 살핀 결과, 각 요인은 단기적으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장기적으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국내  커피 생산은 커피 수출량과 상호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데 비해, 국내 총생산 - 총고정자본형성 - 커피 수출은 일방적인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2-10년 범위에 대해 커피 수출량 변화가 미래 가치에 62.7(2년)-67.7(10년)%의 영향을 미치며 커피 수출량에 미치는 영향은 국내 생산 - 무역 개방 정도 - 총고정자본형성 - 환율 - 국내 총생산 - 외국인 직접투자 순이라고 말한다. 

  

인용(APA): Nyangoma, J. (2023). Determinants of Ugandan coffee export between 1965 and 2021 (Doctoral dissertation, Makerere University).

 

링크:   http://dissertations.mak.ac.ug/handle/20.500.12281/16766

 

 

  **

요약:  Gomes팀(2023)은 주요 커피 성분값(페놀 화합물, 카페인, 비환원당량, 총 당량, 니코틴산,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아세트알데히드, 에탄올, 에탄올/메탄올 비)에 대한 분광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자료를 주성분 분석 처리함으로써 스페셜티 커피와 일반 커피를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구분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Claro Gomes, W. P., Gonçalves Bortoleto, G., & Melchert, W. R. (2023). Spectrophotometry and chromatography analyses combined with chemometrics tools to differentiate green coffee beans into special or tradi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링크:   https://ift.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1750-3841.16807

 

 

  **

요약:  Febrina팀(2023)은 루왁 커피 원두에 대한 수소 핵자기공명 분석을 통해, 해당 원두가 일반 커피 대비 아세트산, 지질, 트리고넬린, 퀸산, 시트르산, 말산 함량이 더 높은데, 사육 루왁 커피의 경우는 지질과 아세트산 함량이 뚜렷이 구별되는데 비해 자연 루왁 커피는 말산, 구연산 함량이 뚜렷이 구분된다고 말한다. 저자는 나아가 루왁 커피가 항산화성,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 면에서 일반 커피 대비 우수한데, 이는 발효에 의한 말산 성분 증가로 인한 것이라고 말한다. 

 

인용(APA): Febrina, L., Happyana, N., & Syah, Y. M. (2023). Metabolic Profiling,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Roasted Beans of Luwak (Civet) Coffee. ACS Food Science & Technology.

 

링크:   https://pubs.acs.org/doi/abs/10.1021/acsfoodscitech.3c00249

 

 

  **

요약:  Wardhana팀(2023)은 래트 실험을 통해, 로부스타 추출물이 대조군인 식염수(0.9%) 대비, 유의미한 상처 회복 가속 능력이 없다(추출물 14일째 50% 회복, 식염수 14일째 48% 회복)고 말한다. 

 

인용(APA): Wardhana, A., Ongko, N. X., Samin, B., & Putri, L. D. (2023). The Effect Of Topical Robusta Coffee Extract (Coffea Robusta) In Accelerating The Healing Process Of Cuts In The Backs Of White Wistar Rats (Rattus Norvegicus). Jurnal EduHealth, 14(04), 175-180.

 

링크:   https://ejournal.seaninstitute.or.id/index.php/healt/article/view/3065

 

 

  **

요약:  Murugananthi(2023)는 2007-2020년 사이 인도 커피 협회의 지역(칙마갈루르, 타밀 나두) 현지 가격 자료를 바탕으로, 칙마갈루르의 아라비카 가격은 12-2월은 강세(+3-+4%), 3-4월과 8-11월은 약세; 로부스타 파치먼트 및 로부스타 체리 등급의 가격은 3월과 6-7월에 강세, 1-12월에 약세를 보였고, 타밀 나두에서 커피 가격은 1-3월에 강세, 9-11월에 약세를 보였다고 말한다. 저자는 인도에서의 로부스타 커피 소비량 증가가 로부스타 커피 가격 상승 및 아라비카 커피 재배에서 로부스타 커피 재배로의 이동을 이끌었다고 말한다.

  

인용(APA): Murugananthi, D. (2023). Price Analysis of Coffee in India. Madras Agricultural Journal, 110(september (7-9)), 1.

 

링크:   http://masujournal.org/view_journal.php?id=406

 

 

  **

요약:  de Oliveira팀(2023)은 고 이산화탄소 환경에서 광량이 높은 환경에서 자란 아라비카 커피나무가 기공 전도도가 더 높다고 지적하고,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나무에서 수력 구조 변화가 일어나는지 살폈다. 연구 결과, 고 이산화탄소 및 고광량 환경에서는 총 잎 면적에 대한 변재(껍질 안쪽의 무른 부위) 면적 비율, 줄기 지름에 대한 변재 면적 비율, 총 잎 면적에 대한 뿌리 중량 비율이 높아지고, 이는 잎에 대한 물 공급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는 이러한 생리적 변화를 일으키는 핵심 원소는 칼슘이라고 말한다. 

  

인용(APA): de Oliveira, U. S., de Souza, A. H., de Andrade, M. T., Oliveira, L. A., Gouvea, D. G., Martins, S. C., ... & DaMatta, F. M. (2023). Carbon gain is coordinated with enhanced stomatal conductance and hydraulic architecture in coffee plants acclimated to elevated [CO2]: The interplay with irradiance supply. Plan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204, 108145.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981942823006563

 

 

 

<< 커피리브레 홈페이지 아카이브에서 여러 커피 정보를 확인하세요. >>

링크: https://coffeelibre.kr/board/free/list.html?board_no=2

 


첨부파일

비밀번호

비밀번호 입력후 수정 혹은 삭제해주세요.

댓글 수정

이름

비밀번호

내용

/ byte

수정 취소
비밀번호
확인 취소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