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제목

2월 3주 커피자료 묶음

작성자 커피 리브레(ip:)

작성일 2022-02-22 18:53:37

조회 266

평점 0점  

추천 추천하기

내용

자료수집기간 20220210 ~ 20220217


* 커피 산지는 저위도로서 태양 에너지가 풍부(5.5 to 7.5 kWh/m2, 300일 이상 햇빛 이용 가능) 하다. 저자는 8제곱미터 크기의 셰플러식 태양열 집광기와 태양 추적기를 결합 태양열 로스팅의 실용성을 평가했다. 연구에 따르면 충분히 맑은 날(DNI 650-850W/m2) 10-16시 사이 드럼 내부 온도를 200-250도로 높일 수 있었으며, 로스팅 가능한 총 용량은 로스팅 정도에 따라 28.8-36kg, 열 효율은 91.3-97.5%로 나타났다.  

  

인용(APA): Majeed, F., Raza, A., Munir, A., & Hensel, O. (2022). Development and Experiments on a Batch-Type Solar Roaster—An Innovative Decentralized System for Coffee Roasting. Sustainability, 14(4), 1-22.

 

 

*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제로 사용하는 로부스타 커피 디카페인 실험에서, 용제 침투를 높일 수 있도록 수분 함량이 최대로 되는 스티밍 시간은 4시간(52%, 1-4시간 중)이지만, 스티밍 1시간째에 이미 수분 함량 44%, 2시간째에는 50%를 넘어섰다. 커피의 성상은 용제 접촉 2시간 이후부터 유지(텍스쳐, 색상)되었으며, 품질 속성(향미, 쓴맛, 향, 바디) 점수는 접촉시간이 길어질수록 떨어졌다.  카페인 함량이 가장 낮아지는 접촉 시간은 6시간(2-6시간 중)으로 나타났다.   

  

인용(APA): AFRILIANA, A., MAULANA, T. A., FIRDAUS, A. M., ALDIANO, B. R., SUBAGIO, A., & HARADA, H. Effects of Using Controlled Decafeinated Machine on Quality of Robusta Coffee Bean.

 

 

* 저품질 커피를 약리 성분 추출 원료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저자는 생두(300g 중 블랙빈 50개 이상, 불량두 함량 12.6%)에서 기름을 추출할 때 수율은 3.70%이며, 기름의 주성분은 지방산으로서 팔미트산이 47.76%, 리놀레인산이 32.98%이고, 기능성 항산화 성분으로 토코페롤이 788.71mg/kg, 페놀화합물이 3312.40mg/kg, DPPH 라디칼 소거능이 0.59mg/ml 농도에서 50%, 0.96mg/ml 농도에서 90%으로, 해당 기름은 화장품 및 여타 유지 기반 제품의 기존 원료를 대체할 능력이 있다고 말한다. 

}

  

인용(APA): MOULİN, E., SOUZA, J., FONTES, M., VİLLANOVA, J., & SOUZA, T. Extraction,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he functionality of fixed oil low-quality coffee beans for use as pharmaceutical ingred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Based Pharmaceuticals, 2(2), 155-165.

 

 

* 저자는 1984-2018년 사이 브라질 파라냐 주의 기상 자료와 주요 커피 해충(붉은 진드기, 커피베리보러, 커피리프마이너)의 개체수, 주기 자료를 구하고 각 지표 간 관련성을 살폈다. 이에 따르면, 해충 피해는 열 지수(더운 쪽이 피해가 더 큼)로, 해충의 주기변동성 및 세대 수는 고도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인용(APA): de Oliveira Aparecido, L. E., Lorençone, P. A., Lorençone, J. A., de Meneses, K. C., de Lima, R. F., da Silva Cabral Moraes, J. R., & Torsoni, G. B. (2022). Coffee pest severity by agrometeorological models in subtropical climat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1-13.

 

 

* 저자는 집약적 해충 관리(IPM) 체제와 관련해, 1년 동안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 지역 57개 농가를 대상으로 성호르몬 기반 생물농약이 커피베리보러에 미치는 효과를 살폈다. 실험 결과, 생물농약 사용으로 커피베리보러 개체수는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며, 자연림에서 떨어질수록 커피베리보러 개체수는 늘어났다. 재배인 인터뷰에서는 생물 농약의 살충 효과가 기존 농약보다 더 높다는 응답자가 대부분(87%)이었다. 

  

인용(APA): Manson, S., Campera, M., Hedger, K., Ahmad, N., Adinda, E., Nijman, V., ... & Nekaris, K. A. I. The Effectiveness of Wildlife-Friendly Farming Practices in the Reduction of Pest Presence in Coffee Plants. Available at SSRN 4019217.

 

 

* 저자는 태국 북부 치앙라이 도이파탕 지역에서 수확 후 처리 과정 중 발효 공정에서 선별된 미생물을 사용하고 온도와 발효 시간을 제어했을 때 커피(차앙마이 산)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변인이 다른 총 24개 조합에 대한 실험 결과, 전체적으로 이스트 수 증가, 박테리아 수 감소 또는 소폭 증가, 숙신산 중심의 산 물질 생성으로 인한 pH 수치 감소(5.71-7.39 -> 4.28-6.05) 및 관능 점수 향상(일부 실험군에서 대조군 대비 78.6 < 80.3-82.4) 효과가 있었다. 

 

미생물 수에 대해, 저자는 여타 문헌과는 달리 여러 실험군에서 호기성 박테리아 수가 감소했고 25도 이하 조건 실험군에서만 수가 증가하는 등 중온성 박테리아의 특징을 나타냈으며, 다만 박테리아 수가 증가한 실험군에서는 향미 증진 효과가 있었다고 말한다. 이에 비해 이스트 수는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했으며 일부 실험군에서는 폭증(2.5log CFU/ml 에서 7.62log CFU/ml로)하면서, 발효 중 환경 변화에 잘 적응했다. 

 

한편, 저자는 실험에서 향미 개선 효과가 좋은 균주(Pichia kluyveri YWP1-5, Pichia kluyveri YML1-1, Pichia 329 kluyveri YMP1-1, Wickerhamomyces anomalus YWP1-3) 및 제어 조건(10-15도, 44시간)으로 대규모 발효 처리했다. 실험 결과, 전체 미생물 수는 증가했으나 이스트 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지는 않았으며, pH 수치는 감소(5.60->3.9)했고, Brix 수치는 발효 6시간 후 증가한 다음 안정세를 이루었다. 향미는 대조군이 green, hay, roasted, lime peel 로 73점인데 비해 실험군은 black tea, honey, lemon, high acidity로 77점이으로 점수가 올랐다.   

  

인용(APA): Krajangsang, S., Mahingsapun, R., Tantayotai, P., Panyachanakul, T., Samosorn, S., Dolsophon, K., ... & Srisuk, N. Enhancement of Arabica Coffee Quality with Selected Potential Microbial Seed Culture Under Controlled Fermentation in Wet Process. Available at SSRN 4008103.

 

 

* 저자는 2021년 2-8월 사이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의 21개 부지(1128개 지점)에서 조류 개체수 및 다양성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지역별 환경 차이를 비롯한 재배 형태가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이에 따르면, 커피 혼농 임업 체제는 꿀/과즙 섭취형, 벌레 섭취형, 식물 섭취형 동물이 풍부했고, 이 때문에 벌의 개체수, 다양성, 풍부성을 지지하기 용이했다. 또한 상업적 복합 재배 커피 농장 또한 혼농 임업 체제에 필적할 정도의 효과가 있었다. 이에 비해 일광 노출형 커피 농장이나 그늘 재배 단일 경작형 커피 농장, 여타 상업용 작물/유실수/임목 농장은 그런 효과가 없었다. 저자는 삼림 손실율이 높은 상황에서 장래 지속 가능한 농법을 위해서는 복합 재배가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인용(APA): Imron, M. A., Campera, M., Al Bihad, D., Rachmawati, F. D., Nugroho, F. E., Budiadi, B., ... & Nekaris, K. A. I. (2022). Bird Assemblages in Coffee Agroforestry Systems and Other Human Modified Habitats in Indonesia. Biology, 11(2), 310.

 

 

* 저자는 하와이에 퍼진 커피녹병의 단순 반복 염기 서열(SSR) 11개 세트를 분석하고 이를 주요 17개국에서 수집한 434개 자료와 비교했다. 저자는 실험 결과 하와이의 녹병 서열은 중미와 자메이카에 널리 퍼져 있는 다중 유전자형(MLG) 10과 가장 유사했다고 언급한다. 전파 원인과 관련해서는 커피베리보러가 퍼진 시기가 기상학적으로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여행객이나 계절 근로자의 수하물에 감염 식물 내지 포자가 붙어 왔거나 중미 또는 카리브산 커피에 대한 훈증 처리 불량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인용(APA): Ramírez-Camejo, L. A., Keith, L. M., Matsumoto, T., Sugiyama, L., Fukada, M., Brann, M., ... & Aime, M. C. (2022). Coffee Leaf Rust (Hemileia vastatrix) from the Recent Invasion into Hawaii Shares a Genotypic Relationship with Latin American Populations. Journal of Fungi, 8(2), 189.

 

 

* 저자는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반유왕이 지질공원의 주요 경관 요소인 커피 재배지의 관광 기능성에 대해 관계 당사자 설문 및 문헌 연구를 진행했다. 저자는 해당 지역에 오래 전부터 여러 커피 재배지가 있어 왔고 이들은 생물 다양성에 기여하는 외, 커피 재배가 해당 지역에서 널리 이루어지고 있고 관광용 볼거리가 많고 관광 개발도 진행되고 있기에 커피 산업 또한 관광에 통합할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를 위해 커피 재배지 분포의 지도화 작업, 커피 재배민 능력 개발과 지속 가능한 관광 원칙 도입 및 강화, 커피 경관 보존을 위한 규정 설립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인용(APA): Hakim, L., Rahardi, B., Guntoro, D. A., & Mukhoyyaroh, N. I. (2022). Coffee Landscape of Banyuwangi Geopark: Ecolog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ropical Life Science, 12(1), 107-116.

 

 

* 저자는 퇴비와 녹비(식물질 거름)가 작물용 대안 비료로서 환경 위험을 최소화한다고 언급하며, 퇴비 단독 및 갈색마(Crotalaria juncea)를 사용한 녹비와의 혼합물이 커피 성장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커피나무의 질소 요구량 대비 25-100% 수준으로 공급하고 성장 지표를 측정 비교한 결과, 질소 요구량 대비 75-100% 의 질소를 공급한 쪽이 커피나무의 키, 줄기 지름, 가로 줄기 수, 꽃보옹리 수, 생산성, 잎에서의 질소 농도 수치는 더 높고 물에 뜨는 커피열매의 비율은 더 낮았다. 퇴비-녹비의 비율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퇴비 공급으로는 커피나무의 키, 줄기 지름, 가로 줄기 수, 생산성,잎에서의 질소 농도, 물에 뜨는 커피열매 비율이, 녹비 공급으로는 커피나무의 키, 줄기 지름, 가로 줄기 수, 꽃봉오리 수, 생산성이 영향을 받았다. 성장 지표 중 커피나무의 키와 가로 줄기 수, 가로 줄기 수와 꽃봉오리 수, 생산성 간에는 비례 관계가 있었다. 

  

인용(APA): Martins Neto, F. L., Peralta-Antonio, N., de Paula Pimenta, M., Rocha, S. B. F., & Silva Santos, R. H. (2022). Continuous Application of Compost and Green Manure Improves the Plant Growth and Productivity of Coffee Trees. Communications in Soil Science and Plant Analysis, 1-13.

 

 

* 저자는 아라비카 계통 까뚜라 품종에 주요 병원체인 녹병이 발생한 경우, 녹병 정도에 따라 뿌리 속성 및 뿌리에 공생하는 균체 속성이 변하는지 살폈다. 실험 결과, 잎에서의 발병 정도는 뿌리의 기능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커피나무는 각 재배환경에 따라 뿌리 기능 및 공생하는 미생물 군집을 달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APA): Gagliardi, S., Avelino, J., Fulthorpe, R., Virginio Filho, E. D. M., & Isaac, M. E. (2022). No evidence of foliar disease impact on crop root functional strategies and soil microbial communities: what does this mean for organic coffee?. Oikos, e08987.

 

 

* 저자는 아라비카를 콜드 브루 추출할 때 카페인과 수용성 고형분을 최적 추출할 수 있는 변인(추출 시간, 입자 크기, 온도, 비율, 교반, 카체인과 수용성 고형분) 조건에 대해 살폈다. 실험에서는 24도, 45분, 커피 대 물 30%, 400rpm 휘저음 조건에서 카페인 3.98mg/ml로 수율 93.9%, 11.20브릭스의 추출값이 나왔다. 다만, 카페인 추출량은 입자 크기를 더 작게(595μm)할 때 더 높았다. 

  

인용(APA): Barroso, L. A., Macedo, A. S., Lemos, I. L., de Andrade Neves, N., Schmiele, M., da Silveira, J. V. W., ... & Fonte, P. Optimization of the brewing parameters on coffee extraction using a central composite rotatable design. JSFA Reports.

 

 

* 저자는 2종 당뇨 환자 3805명에 대해 커피 섭취 및 만성 신장 질환 발생 상황에 대해 추적 조사(중앙값 5.3년)해, 커피를 음용할 경우 사구체 기능 감소 위험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했다. 

  

인용(APA): Komorita, Y., Ohkuma, T., Iwase, M., Fujii, H., Ide, H., Oku, Y., ... & Kitazono, T. Relationship of coffee consumption with a decline in kidney function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 Fukuoka Diabetes Registry. Journal of Diabetes Investigation.

 

 

* 저자는 프랜차이즈 카페 고객을 20대 위주의 대학생과 3-40대 위주의 직장인으로 나누어 조사했다. 가설(브랜드 인지도(1), 서비스 품질(2), 제품 품질(3), 환경(4)이 고객 만족에 영향을 미침 / 고객 만족이 습관적 행동(5), 고객 습관(6), 재방문 의사(7)에 영향을 미침) 관련 설문 조사 결과, 대학생 그룹에서는 해당 가설 모두가 채택된 반면, 직장인 그룹에서는 브랜드 인지도(1), 환경(4)의 고객 만족 영향 및, 소비자 만족의 습관적 행동(5)영향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에 대해,  직장인 그룹에서는 고객 만족이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습관이 영향을 미치는데 비해, 대학생 그룹에서는 매장 만족도와 습관 모두가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친다. 저자는 또한 대학생 그룹에서는 매장 만족도 쪽의 영향이 더 크며, 소비자 만족이 재방문 의사로 이어지는 데에는 습관이 매개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저자는 대학생 그룹에서는 멤버십 프로그램이 습관성 재방문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오랫동안 머무를지라도 불편하지 않은지, 와이파이 등 여러 편의시설, 청결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가 고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제품 만족과 커피 취향이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지만 제품 품질보다는 환경 요소의 영향이 더 크다고 말한다. 저자는 그러므로 대학생 그룹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긍정 인식 요소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정리한다. 

 

저자는 또한, 전체적으로 볼 때 품질과 서비스 만족은 재방문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제품 품질 유지 및 소비자 불만에 대한 빠른 응대와 서비스 제공의이 중요하며, 고객 만족은 친숙함을 유발하고 이로써 재방문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인용(APA): Lee, H. J. (2022). A Study on the Effect of Customer Habits on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Franchise Coffee Shops. Information, 13(2), 86.

 

 

* 저자는 커피 추출물을 요구르트에 첨가한 경우, 추출물 속 폴리페놀 화합물이 미생물 가용성 및 음료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커피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이스트와 사상균은 감소(0%에서 11.3-36 cfu/ml > 0.3%에서 9.69-8.27cfu/ml)하는데 비해 락트산 박테리아 수는 저장일수에 따라 늘어나는 등 요구르트의 품질은 유지되면서 항산화 효과(0%에서 19.15-16.73 < 0.3%에서 68.55-57.94)는 증대되므로 프로바이오틱 기능성은 높아진다고 말한다. 

  

인용(APA): Mbae, J., Koskei, R., & Mugendi, B. (2022). Effect of Addition of Coffee Extract on Microbial Growth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Yoghurt. Europ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od Sciences, 4(1), 76-80.


첨부파일

비밀번호

비밀번호 입력후 수정 혹은 삭제해주세요.

댓글 수정

이름

비밀번호

내용

/ byte

수정 취소
비밀번호
확인 취소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