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제목

2023년 5월 2주 커피자료 묶음

작성자 커피 리브레(ip:)

작성일 2023-05-09 12:48:27

조회 264

평점 0점  

추천 추천하기

내용


 

2023년 5월 2주 커피자료 묶음

자료수집기간 20230429-0505

 

 

 

<< 커피리브레 홈페이지 아카이브에서 여러 커피 정보를 확인하세요. >>

링크: https://coffeelibre.kr/board/free/list.html?board_no=2

 

 

 

 

  **

요약:  León-Rojas팀(2023)은 페루 라 몰리나에서의 식물 스트레스 환경(기온, 물 가용량) 실험 결과, 기온이 높고 물이 부족한(평균 온도 22.7도 대비 2.5도 상승, 물 50% 부족)환경 및 기온은 보통에 물이 부족한(물 50% 부족) 환경에서 일부 식물 지수가 유의하게 나빠졌으며, 고온보다는 물 부족이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인용(APA): León-Rojas, F. R., Valderrama-Palacios, D., Borjas-Ventura, R., Alvarado-Huaman, L., Julca-Otiniano, A., y Figueroa, L. T., ... & Cardoza-Sánchez, A. (2023). Low water availability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offee seedlings than an increase in temperature. Agronomía Colombiana, 41(1), e105778-e105778.

 

링크:   https://revistas.unal.edu.co/index.php/agrocol/article/view/105778

 

 

  **

요약:  Emile팀(2023)은 문헌 리뷰 자료 14개 리뷰를 통해, 커피 음용이 대장암, 결장암, 직장암 위험을 유의하게 줄인다는 리뷰 자료가 각각 5, 2, 1건이며, 총 2건의 리뷰에서 음용량에 따른 위험 감소(리뷰 1건에서는 커피를 하루 6잔 이상 음용시 대장암 위험 7% 감소 및 다른 리뷰 1건에서는 커피를 하루 5잔 음용시에는 8% 감소, 6잔 이상 음용시에는 12% 감소) 효과가 보고된 상태라고 말한다. 

  

인용(APA): Emile, S. H., Barsom, S. H., Garoufalia, Z., & Wexner, S. D. (2023). Does drinking coffee reduce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A qualitative umbrella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Techniques in Coloproctology, 1-8.

 

링크: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151-023-02804-3

 

 

  **

요약:  De Vivo팀(2023)은 에스프레소 커피 162개 샘플 분석을 통해,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대한 선형판별분석(LDA)으로 샘플을 97.53%의 정확도로 판별 가능했으며, 로스팅 및 품종(강로스팅에서는 헤드스페이스 내 퓨란, 에스테르, 질소 고리 화합물, 황 화합물 함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지리적 산지 차이는 감소; 약로스팅과 중로스팅 로부스타는 피라진과 피리미딘이 많음; 아라비카 커피는 알데히드, 알콜, 케톤 함량이 많음)에 따른 성분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상세:  저자는 커피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 로스팅 중 발생하는 주요 성분으로서 향 및 향미에 영향을 주며, 품종 등 유전상황과 산지, 기후, 로스팅 조건은 VOC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고 말하고 종, 산지(아라비카-페루, 콜롬비아, 브라질; 로부스타-인도 체리, 베트남, 우간다), 로스팅 정도가 다른 총 162개 커피를 에스프레소 로스팅-추출하고 샘플을 정적 헤드스페이스 추출-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 분석했다. 

 

연구 결과, 클로로겐산 함량은 아라비카, 약로스팅 환경이 유의하게 높았다. 3-CQA는 아라비카 약로스팅이 48.756-50.585mg/L(이하 동일 단위), 중로스팅이 26.219-32.712, 강로스팅이 6.274-10.402인데 비해, 로부스타는 각각 33.682-34.644, 14.233-17.845, 2.492-3.438이었고; 4-CQA 는 각각 37.683-46.25, 23.869-25.825, 6.94-11.262 / 30.025-31.469, 15.049-18.436, 3.323-4.348; 5-CQA는 28.625-38.086, 19.701-21.266, 5.531-8.096 / 22.595-24.254, 11.506-14.172, 1.884-2.754였다. 저자는 로부스타 안에서의 커피 별 유의한 차이는 없다고 말한다. 

 

지질 함량은 아라비카, 약로스팅 환경이 높았다. 아라비카 약로스팅은 4.016-5.739mg/ml(이하 동일 단위), 중로스팅은 3.339-5.416, 강로스팅은 2.655-4.785이고 로부스타는 각각 2.182-4.371, 1.645-3.145, 1.28-2.167로 나타났다. 

 

고형분 총량은 로부스타, 강로스팅 환경이 높았으나 중-강 로스팅 사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아라비카 약로스팅이 70.924-83.427mg/mL(이하 동일 단위), 중로스팅이 76.375-88.602, 강로스팅이 90.394-108.269인데 비해 로부스타는 각각 78.23-92.659, 85.607-103.207, 89.833-120.208로 나타났다. 

 

저자는 자료를 바탕으로 선형판별분석한 결과, 알데히드, 에스테르, 황 화합물, 질소 고리 화합물, 페놀, 피라진, 알콜, 케톤, 퓨란, 피리미딘, 산(제1축) 및 케톤, 질소고리 화합물, 알데히드, 피라진, 에스테르, 페놀, 알콜, 황 화합물, 퓨란, 피리미딘, 산(제2축)에 따라 샘플을 분류할 수 있으며, 정확도는 베트남과 콜롬비아 샘플을 제외할 경우(베트남 샘플이 콜롬비아 대비 정확도가 2배 낮음) 97.53%에 달한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에 따라 산지, 로스팅 정도 모두에 대해 VOC수치를 바탕으로 깔끔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강로스팅에서는 VOC 풍부도가 커지고 특히 퓨란, 에스테르, 질소 순환고리 화합물, 황 화합물 함량이 많아졌는데, 이와 관련해 산지와 종에 따른 VOC 편차가 감소했다고 저자는 말한다.

 

성분별로는, 산 물질 함량은 아라비카, 약로스팅이 높았다. 

알콜 함량은 로부스타는 중-약-강로스팅 순으로 높고, 아라비카는 중-강-약 로스팅 순으로 높으며, 아라비카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알데히드 함량은 아라비카, 약로스팅이 높았다.

에스테르 함량은 강로스팅이 높으며, 강로스팅에 한해 아라비카가 높았다.

퓨란 함량은 강로스팅이 높으며, 로부스타가 높으나 종 내 편차가 컸다. 

케톤 함량은 아라비카, 약로스팅이 높았다.

질소고리화합물 함량은 로부스타, 강로스팅이 높았다.

페놀 함량은 로부스타의 경우 강로스팅, 아라비카의 경우 약로스팅이 높으며, 로부스타쪽 함량이 높았다. 

피라진 함량은 로부스타의 경우 약로스팅, 아라비카의 경우 중로스팅 함량이 높았다. 

피리미딘 함량은 로부스타의 경우 중-강-약 순인데 비해, 아라비카의 경우 강로스팅 함량이 높았다.

황 화합물 함량은 로부스타, 강로스팅이 높았다. 

 

인용(APA): De Vivo, A., Balivo, A., & Sarghini, F. (2023). Volatile Compound Analysis to Authenticate the Geographical Origin of Arabica and Robusta Espresso Coffee. Applied Sciences, 13(9), 5615.

 

링크:  https://www.mdpi.com/2076-3417/13/9/5615

 

 

  **

요약:  Wahibah팀(2023)은 인도네시아 메란티 섬에서 발견해 녹병 저항력이 있는 품종으로 발표되었으며 토탄(피트) 토양에 알맞은 리베리카 품종인 리베로이드 메란티1 및 2(각각 Lim1, Lim2) 및 또다른 리베리카 종인 벵칼리스 품종에 대한 녹병 저항력 검사 결과, 세 품종 모두 녹병 저항력이 있고, 검사에 사용한 녹병 저항 유전자 유사 RGA 프라이머인 CARF 005 를 적용해 DNA 밴드를 추출하고 핵염기 서열을 확인하는 방식은 유효한 녹병 검사 방식이라고 말한다. 

  

인용(APA): Wahibah, N. N., Putri, R. P., Muflikhah, L., & Martina, A. (2023). Analysis of Resistance to Fungal Pathogen Hemileia Vastatrix of Liberica Coffee Based on Functional Marker. International Journal of Phytopathology, 12(1).

 

링크:   https://www.journals.esciencepress.net/index.php/phytopath/article/view/4371

 

 

  **

요약:  Makhali & Widjanarko는 인도네시아 무리아 지역 커피 농민의 친환경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경 지속 가능성에 대한 동기, 생산성, 습관, 비용, 지식이 있고, 친환경 활동을 하지 않는 농민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지 없음, 지식 부족, 동물 배설물 수집 난이도, 환경 피해 영향에 대한 이해 부족이 있다고 말한다. 

  

인용(APA): Makhali, M. N., & Widjanarko, M. Pro-environmental Behavior among Coffee Farmers in Muria Mountains Area. Jurnal Ecopsy, 10(1).

 

링크:   https://ppjp.ulm.ac.id/journal/index.php/ecopsy/article/view/2023.02.001

 

 

  **

요약:  Nandita팀(2023)은 인도네시아 자바 섬 젬버 판티 지역 로부스타 커피의 마케팅 전략을 위한 농민 단체 대상 설문 조사 결과, SWOT분석으로서 강점으로는 정부 기관으로부터의 허가, 로스팅 훈련 수료, 품질 보증, 단골, 제품 품질; 약점으로는 홍보 관리 부족, 포장 호소력 부족, 시설과 인프라 한계, 소셜 미디어 관리 역량 부족; 기회로는 라이프스타일 변화, 마케팅 속 정보 기술 활용 발전, 전시 이벤트, 시장 수요 증가, 커피 전문점 성장; 위기로는 원자재 가격, 날씨와 계절, 로스팅 사업체와의 경쟁을 확인하고, 주요 전략으로서는 고객 만족을 위한 품질 개선, 마케팅 개선을 위한 서비스 최적화, 마케팅 확대를 위한 인력 최적화와 홍보관리, 원두 생산 마케팅을 위한 대안 전략, 제품 브랜딩을 위한 포장 품질 개선, 경쟁 대응을 위한 브랜딩 최적화, 원자재 수급과 가격 변동에 대응하는 원자재 생산 공급 확대와 파트너십 및 운송 시설 추가,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교육과 홍보를 들었으며, 이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제품 마케팅 확대를 위한 마케팅 인력 최적화와 홍보 관리라고 말한다. 

  

인용(APA): Nandita, D. G., Kurniawan, B. P. Y., & Iskandar, R. (2023). Analisis Strategi Pemasaran Roasting Coffee Robusta (Coffea canephora) Produksi Gabungan Kelompok Tani (GAPOKTAN)“Sumber Mulyo” Desa Pakis, Kecamatan Panti, Kabupaten Jember.: Marketing Strategy Analysis of roasted robusta coffee (Coffea canephora) Production of Farmers Group Association (GAPOKTAN)“Sumber Mulyo” Pakis Village, Panti District, Jember Regency. Jurnal Ilmiah Inovasi, 23(1), 34-43.

 

링크:   https://publikasi.polije.ac.id/index.php/jii/article/view/3834

 

 

  **

요약:  Hidayat팀(2023)은 솔비톨 수용액에 침지 처리한 로부스타 커피 열매를 가공해 만든 원두 커피에 대해, 솔비톨 농도가 증가(10->20%)한 경우 물리화학적 반응에는 영향이 없이 관능 속성(색, 향, 애프터테이스트)에 영향을 미치고 품질 향상에 기여했다고 말한다. 

 

상세:  저자는 로부스타 커피가 신맛 성분은 적고 쓴맛 물질인 카페인이 많은데, 발효 등의 방법으로는 품질 개선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솔비톨 수용액 침지 방식을 통한 관능 개선을 모색했다. 커피열매(실험군 당 5kg)를 농도가 다른 솔비톨 수용액(10, 15, 20%, 실험군 당 5L)에 50도 환경에서 72시간 동안 담금 후 열매를 말려 껍질을 제거해 생두를 생산하고 강, 중, 약 로스팅(투입 180도, 1차 크랙 후 배출 시간 기준으로 강 5분, 중 3분, 약 1분이며 추정 배출온도는 강 192-229, 중 198-216, 약 174-211도)한 뒤 추출액을 물리화학적 분석하고 관능 평가했다.

 

연구에 따르면, 로스팅 정도에 따라 커피 및 커피 추출액의 밝기(L값) 및 수분 함량은 낮아졌고 pH 값(1분과 3분 차이는 크지 않음)은 높아졌다. 그러나 로스팅 정도에 따른 카페인 함량 차이, 항산화력(약한 감소)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솔비톨 농도에 따른 pH, 카페인 함량, 항산화력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주성분 분석에 따르면, 수분 함량과 명도값은 항산화 수치 관련 IC50과 pH수치와는 음의 관계가 있었다. 

 

관능 속성의 경우, 색상, 향, 향미, 애프터테이스트에서 10%(3.83-3.92, 3.92-4.36, 4.00-4.12, 4.00-4.23), 15%(4.42-5.01, 4.34-4.85, 4.22-4.56, 4.19-4.51), 20%(3.72-5.15, 4.47-5.02, 4.20-4.74, 4.11-4.70)으로 나타나, 20% 용액에 1차 크랙 후 3분 로스팅한 실험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인용(APA): Hidayat, D. D., Ikrawan, Y., Harin, N. Y., Furqon, M., Rahayuningtyas, A., Sudaryanto, A., & Sagita, D. (202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ttributes of Robusta Coffee as Influenced by Sorbitol Concentration and Roasting Time. Pelita Perkebunan (a Coffee and Cocoa Research Journal), 39(1).

 

링크:   https://mail.ccrjournal.com/index.php/ccrj/article/view/532

 

 

  **

요약:  Belgis팀(2023)은 인도네시아 자바 섬 젬버 지역의 로부스타 커피에 대한 설문(해당되는 모든 항목에 대해 평가-RATA)및 분석을 통해, 해당 지역 로부스타 커피는 지역별로 향미 속성이 유의하게 다르며(구눙 말랑, 탕굴, 파키스 산은 단향과 신향 특성; 케미리 산 커피는 단맛과 신맛, 갈색, 쓴 향, 거친 입안 느낌 특성), 가공 방식이 다르더라도 고도가 같은 인접지에서 재배한 커피는 향미 속성이 비슷(시도물요I 및 II는 모두 쓴 애프터테이스트와 쓴 바디, 탄 향, 떫은 향미, 높은 쓴맛이 나타남)하다고 말한다.

  

인용(APA): Belgis, M., Arifin, T. Z., Prameswari, D., Taruna, I., Choiron, M., Witono, Y., & Masahid, A. D. (2023). Sensory Profile on Robusta Coffee by Rate-All-That-Apply (RATA). Pelita Perkebunan (a Coffee and Cocoa Research Journal), 39(1).

 

링크:   https://mail.ccrjournal.com/index.php/ccrj/article/view/546

 

 

  **

요약:  Wibowo & Wijaya(2023)는 세 가지 아라비카 품종(가요-1, 카르티카-1, 시가라루탕)을 사용한 신속 발아 실험에서, 50도의 물에 30분간 침지하는 방식은 대조군(상온(25도)의 물에 3일간 침지, 발아 기간을 21일 대비 14일로 단축)에 비해 발아 성공율(96% > 92.44%), 싹 길이(5.97cm>5.10cm), 활력 지수(573.44 > 468.42) 면에서 떨어지긴 하지만 그 정도가 적다는 점에서 휴면기를 깨는 신속한 발아법이라고 말한다. 

  

인용(APA): Wibowo, A., & Wijaya, S. A. (2023).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Three Arabica Coffee Varieties at Four Seed Soaking Water Temperatures. Pelita Perkebunan (a Coffee and Cocoa Research Journal), 39(1).

 

링크:   https://mail.ccrjournal.com/index.php/ccrj/article/view/540

 

 

  **

요약:  Jitjaroen팀(2023)은 까띠모르 커피에 가공 방식을 달리(건식, 반 카르보니크 마세라시옹-SCM, 배양 종균 이스트 접종(사카로마이케스 케레비시아이)) 적용해 생산한 커피를 로스팅하고 활성 향미 속성을 향미 휠 내 속성에 맞춰 평가한 결과, SCM 및 종균 접종은 활성 향미 속성 증진(건식 20개 속성, SCM 29개, 종균 접종 22개) 잠재력이 있으며 향미 강도 또한 증진되어 SCA 프로토콜 기준 건식(79.42점) 대비 높은(각각 81.50점, 82.83점) 점수를 받았다고 말한다. 

  

인용(APA): Jitjaroen, W., Chaisri, D., & Panjai, L. (2023). Characterization of active-aroma wheel in contemporary coffee processes via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and sensory perspective. Coffee Science-ISSN 1984-3909, 18, e182059-e182059.

 

링크:   http://www.coffeescience.ufla.br/index.php/Coffeescience/article/view/2059

 

 

  **

요약:  Keith팀(2023)은 하와이 군도 내 커피 재배종(띠삐카)에 발병 상태인 녹병균을 수집(하와이 섬 3, 마우이 섬 5, 몰로카이 1)해 분석한 결과, 해당 녹병균은 XXIV계통에 독성 유전자 v2, v4, v5가 있으며, 이는 하와이 섬에 녹병균이 단일 유입되어 확산되었음을 뒷받침한다고 말한다. 저자는 XXIV 녹병균의 공격성이 크고 저항 유전자 SH5, SH2, 5를 보유한 품종(블루마운틴, 부르봉, 까뚜아이, 까뚜라, 켄트, 코나, K7, 문도 노보, SL28, SL39)은 이에 취약한 반면 게이샤(SH1, 5), S.288(SH 3, 5), 딜라&알게(SH1)는 해당 녹병균에 강하다는 내용을 인용한다.   

  

인용(APA): Keith, L., Matsumoto, T., Sugiyama, L., Fukada, M., Nagai, C., Pereira, A., ... & Várzea, V. (2023). First Report of the Physiological Race (XXIV) of Hemileia vastatrix (Coffee Leaf Rust) in Hawaii. Plant Disease, (ja).

 

링크:   https://apsjournals.apsnet.org/doi/abs/10.1094/PDIS-03-23-0460-PDN

 

 

  **

요약:  Mazzoleni팀(2023)은 메타 분석(2009-2021년까지 9개 자료 대상)을 통해, 차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치매 위험은 감소하는데 비해, 커피 섭취량의 경우, 하루 2잔까지는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치매 위험은 감소하지만 하루 2-5잔까지는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치매 위험은 다시 높아진다고 말한다. 

  

인용(APA): Mazzoleni, E., Rossetti, A., Filippini, T., & Vinceti, M. (2023). Tea and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Population Medicine, 5(Supplement).

 

링크:   http://www.populationmedicine.eu/Tea-and-coffee-consumption-and-risk-of-dementia-a-systematic-review-and-dose-response,165743,0,2.html

 

 

  **

요약:  Vaidya팀(2023)은 멕시코 치아빠스 주 커피 재배지(그늘 재배형, 일광 노출형, 대조군은 숲)에서의 꿀벌 군집 비교 실험을 통해, 꿀벌 군집량이나 활동, 꽃가루 풍부도는 우기 중에 감소하고, 서식지 중 그늘 재배형은 숲과 유사한 성과를 보인데 비해, 일광 노출형은 수집 꽃가루 다양성은 유사한데 비해 수집량, 꿀벌 군집량은 떨어지고 군집이 죽는 등 꿀벌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에 대해 농약 노출, 꽃 자원 부족 등을 이유로 꼽았다. 

  

인용(APA): Vaidya, C., Fitch, G., Martinez, G. H. D., Oana, A. M., & Vandermeer, J. (2023). Management practices and seasonality affect stingless bee colony growth, foraging activity, and pollen diet in coffee agroecosystems.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353, 108552.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167880923002116

 

 

 

<< 커피리브레 홈페이지 아카이브에서 여러 커피 정보를 확인하세요. >>

링크: https://coffeelibre.kr/board/free/list.html?board_no=2

 


첨부파일

비밀번호

비밀번호 입력후 수정 혹은 삭제해주세요.

댓글 수정

이름

비밀번호

내용

/ byte

수정 취소
비밀번호
확인 취소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닫기